학술논문
우의(寓意)론에 기반한 수묵화 창작 경험의 교양 교육적 의의와 적용 가능성 탐색
이용수 18
- 영문명
- Exploring Liberal Arts Educational Meanings and Application Possibilities of Ink Wash Painting Experiences of Creation Based on the Theory of Yuyi(寓意)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임장순(Jangsoon IM) 안지연(Jiyoun AHN)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84집, 219~24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0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문인화의 우의(寓意)론에 기반한 수묵화 창작 경험의 교양 교육적 의의와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자화상을 주제로 수업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먼저 자신의 얼굴을 사생(寫生)을 통해 형상을 드러내되 닮음에 그치지 않고 이치를 파악하 도록 하였으며, 다음으로 사의(寫意)를 통해 생각과 느낌을 담고 관점을 세워 자신을 성찰하고 정체성에 대해 생각해 볼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얻을 수 있었던 자신의 모습은 크게 두 가지로 나타났다. 첫째는 기억의 표현으로 자신에게 의미 있는 공간과 상황 등을 통해 과거의 기억 가운데에서 잊고 있었던 자신을 발견하였다. 둘째는 마음의 표현으로 자신이 느끼는 생각과 감정을 다양한 수묵 기법으로 풀어내는 과정에서 자신을 발견하고 드러내었다. 이러한 우의론에 기반한 수묵화 창작을 통해 학생들은 자신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주관적으로 성찰하며, 시각 언어를 통해 타인과 소통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이 자신을 인식하고, 강화하고, 확장하기 위한 방안으로 문인화의 정신을 담은 수묵 창작 경험의 교양 교육적 의의와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related class to explore the meaning and its applicability of su-muk painting classes based on Yuyi(寓意) in the liberal arts education. First, students drew shapes not only for the similarity, but also for perceiving its principle. Secondly, students deposited their thoughts and experiences into the images considering their identities. The self-image that the students were able to draw in these classes revealed in two ways. Firstly, the expression of memory. They found themselves in the memories of the past through drawing their meaningful spaces and times. Secondly, the expression of their mind. They revealed themselves by unraveling their thoughts and feelings with various ink wash techniques. Through the drawing, students were able to review themselves objectively and subjectively, communicating with viewers through various visual languages. Through this research,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meaning of the su-muk painting for students to recognize, strengthen and expand themselves.
목차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우의론
Ⅲ. 우의론에 기반한 자화상 창작 수업의 의의
Ⅳ. 우의론에 기반한 수묵 자화상 창작 수업의 사례
V.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 교사를 위한 지시문 기반 예술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실행 연구: 현대 미술과 동시대 미술을 중심으로
- 전통도자문화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초·중등 도자문화 이해 프로그램 개발 연구
- 말기 암환자 가족 아동과의 미술치료를 수행한 미술치료사의 자기성찰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동시대 공공미술 프로젝트 실천 현황을 통해 본 학교공공미술 교육 발전 방향 모색 ‘서울은 미술관’, ‘만아츠 만액츠’, ‘APAP’를 중심으로
- 우의(寓意)론에 기반한 수묵화 창작 경험의 교양 교육적 의의와 적용 가능성 탐색
- 인공지능 미술의 예술적 가치 판단 프로그램 개발 연구 고등학교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 포스트 코로나 시대, 배움을 멈추지 않는 자: 수원시립미술관 <63일 동안 예술가로 사는 법> 프로그램을 통한 의미 만들기 교육 사례 연구
- 감성학으로서의 미술교육 - 미술교육에서 심미성의 재개념화 -
- 사운드스케이프를 활용한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브뤼노 라투르의 ‘대칭성’과 ‘번역’의 의미를 바탕으로
- 미술학습부진 학생의 다중지능 특성에 관한 연구: 미술영재와 미술학습부진 학생의 다중지능 특성 비교
- 미술적 창의성의 구성 요소 범주화 및 그 교육적 의미 고찰
- 도자조형 활동이 지적장애 학생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대학 서양화 실기 교과 연구 - 템페라 기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T. J. 디모스와 창의적 생태 센터의 활동 - 기후변화 시대 시각예술의 연구, 교육, 큐레토리얼 실천
-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 탐색 미술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공동 주체성(co-agency)의 가능성과 한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