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술학습부진 학생의 다중지능 특성에 관한 연구: 미술영재와 미술학습부진 학생의 다중지능 특성 비교
이용수 103
- 영문명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ultiple Intelligences of Students with Art Underachievement: Comparison of Multiple Intelligence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in Art and Art Underachievement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공완욱(Wanwook KONG)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84집, 21~4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0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술학습부진 학생 집단의 다중지능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미술학습부진 학생을 보다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초등학교 3~6학년 196명을 대상으로 Gardner의 다중지능(Mutiple Intelligence)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중 미술 교과 수행평가 결과와 미술표현능력검사를 통해 선발된 12명의 표현 영역 미술학습부진 학생 집단의 다중지능 검사 결과를 일반학생 집단 및 미술영재 집단의 다중지능 검사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미술학습부진 학생 집단의 다중지능은 모든 유형에서 ‘보통’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간지능이 가장 낮은 순위로 나타났으며, 대인관계지능이 가장 높은 순위의 지능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미술영재의 다중지능 특성과 대비되는데, 미술영재의 경우 공간지능이 가장 높은 순위를 보이며 대인관 계지능이 가장 낮은 순위이다. 연구 결과가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학습부진의 개념에서 학습부진이 기본적인 잠재능력을 갖추고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한다는 것이 다중지능의 측면에서 증명되었다. 둘째, 미술영재 집단과 미술학습부진 집단의 다중지능의 수준을 비교해보았을 때, 공간지능의 미술 능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셋째, 공간지능을 구조 측면에서 분석하여 초등학생의 미술 발달을 고려한 효과적인 미술학습부진 극복 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ore systematically understand students with art underachievement by analyzing the multiple intelligence characteristics of a group of students with art underachievement. Gardner's Multiple Intelligence test was conducted on 196 students in grades 3-6 of Elementary School. Among them, a group of 12 students with art underachievement was selected through the art subject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s and art expression ability test. The multi-intelligence characteristics of the art underachievement student group, the general student group, and the art gifted group were compar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multiple intelligences of the student group with art underachievement were ‘normal’ in all types. Spatial intelligence was ranked the lowest, and interpersonal intelligence was the highest. These results contrast with the multi-intelligence characteristics of the art gifted, and in the case of the art gifted, spatial intelligence ranks highest and interpersonal intelligence ranks lowest.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oncept of art underachievement student, it has been proven in terms of multiple intelligences that art underahcievement targets students with basic potential. Second, when comparing the level of multiple intelligences of the art gifted group and the art underachievement group, it can be inferred that it directly affects the art ability of spatial intelligence. Third, by analyzing spatial intelligence in terms of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epare an effective plan for overcoming the art achievement in consideration of the art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목차
I. 서론
Ⅱ. 미술학습부진과 다중지능이론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V.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 교사를 위한 지시문 기반 예술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실행 연구: 현대 미술과 동시대 미술을 중심으로
- 전통도자문화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초·중등 도자문화 이해 프로그램 개발 연구
- 말기 암환자 가족 아동과의 미술치료를 수행한 미술치료사의 자기성찰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동시대 공공미술 프로젝트 실천 현황을 통해 본 학교공공미술 교육 발전 방향 모색 ‘서울은 미술관’, ‘만아츠 만액츠’, ‘APAP’를 중심으로
- 우의(寓意)론에 기반한 수묵화 창작 경험의 교양 교육적 의의와 적용 가능성 탐색
- 인공지능 미술의 예술적 가치 판단 프로그램 개발 연구 고등학교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 포스트 코로나 시대, 배움을 멈추지 않는 자: 수원시립미술관 <63일 동안 예술가로 사는 법> 프로그램을 통한 의미 만들기 교육 사례 연구
- 감성학으로서의 미술교육 - 미술교육에서 심미성의 재개념화 -
- 사운드스케이프를 활용한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브뤼노 라투르의 ‘대칭성’과 ‘번역’의 의미를 바탕으로
- 미술학습부진 학생의 다중지능 특성에 관한 연구: 미술영재와 미술학습부진 학생의 다중지능 특성 비교
- 미술적 창의성의 구성 요소 범주화 및 그 교육적 의미 고찰
- 도자조형 활동이 지적장애 학생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대학 서양화 실기 교과 연구 - 템페라 기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T. J. 디모스와 창의적 생태 센터의 활동 - 기후변화 시대 시각예술의 연구, 교육, 큐레토리얼 실천
-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 탐색 미술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공동 주체성(co-agency)의 가능성과 한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