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술적 창의성의 구성 요소 범주화 및 그 교육적 의미 고찰
이용수 151
- 영문명
- Categorizing Factors Associated with Artistic Creativity and Exploring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강지희(Jihee KANG)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84집, 1~2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0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술적 창의성(artistic creativity)의 구성 요소를 조작가능한 형태로 범주화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구성 요소 추출을 위하여 미술적 창의성을 다룬 논문 17건을 탐색 및 분석한 후 능력 구분에 기반하여 2개의 능력 영역과 14개의 하위 구성 요소를 범주화하였다. 분석 결과 미술적 창의성의 구성 요소는 인지·표현 능력 영역에 직관, 상상력, 사고양식의 전환, 연결 능력, 시각화 능력, 독창성, 적절성, 유창성, 융통성의 9개 요소가, 정의적 능력 영역에 감수성, 몰입, 자율성, 호기심, 개방성의 5개 요소가 도출되었다. 미술적 창의성의 구성 요소는 일반적인 창의성 문헌에서 언급되는 요소들과 유사 하였으나, ‘시각화 능력’은 미술 영역에 고유한 능력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이들 구성 요소를 이용하여 미술 교과에서 창의성을 평가하는 항목으로 본 요소를 이용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으며, 타 영역 창의성과의 비교를 통해 융합교육에서 미술교육이 창의성 교육에 기여할 수 있는 지점을 검토하고, 인공지능 시대 미술 창의성의 의미 변화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find factors associated with artistic creativity as an operational definition. To this end, the author explored and analyzed seventeen articles dealing with artistic creativity. The factors categorized into two main domains and fourteen subcategories. Cognitive and expressive domains consist of nine factors: intuition, imagination, shifting between modes of thinking, connecting skill, originality, appropriateness, fluency, flexibility, and visualization. An affective domain consists of five factors: sensitivity, flow, autonomy, curiosity, and openness. Although factors of artistic creativity were similar to those of general creativity, “visualization” was a unique feature in the art domain. The author suggests that these factors can be used to assess creativity in art class, considers the possibility of art education’s contribution to creativity improvement in convergence education, and thinks about the change of the meaning of creativity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목차
I. 서론
Ⅱ. 미술교육을 통한 창의성 계발
Ⅲ. 미술적 창의성의 구성 요소 탐색 및 범주화
Ⅳ. 미술적 창의성의 교육적 의미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 교사를 위한 지시문 기반 예술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실행 연구: 현대 미술과 동시대 미술을 중심으로
- 전통도자문화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초·중등 도자문화 이해 프로그램 개발 연구
- 말기 암환자 가족 아동과의 미술치료를 수행한 미술치료사의 자기성찰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동시대 공공미술 프로젝트 실천 현황을 통해 본 학교공공미술 교육 발전 방향 모색 ‘서울은 미술관’, ‘만아츠 만액츠’, ‘APAP’를 중심으로
- 우의(寓意)론에 기반한 수묵화 창작 경험의 교양 교육적 의의와 적용 가능성 탐색
- 인공지능 미술의 예술적 가치 판단 프로그램 개발 연구 고등학교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 포스트 코로나 시대, 배움을 멈추지 않는 자: 수원시립미술관 <63일 동안 예술가로 사는 법> 프로그램을 통한 의미 만들기 교육 사례 연구
- 감성학으로서의 미술교육 - 미술교육에서 심미성의 재개념화 -
- 사운드스케이프를 활용한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브뤼노 라투르의 ‘대칭성’과 ‘번역’의 의미를 바탕으로
- 미술학습부진 학생의 다중지능 특성에 관한 연구: 미술영재와 미술학습부진 학생의 다중지능 특성 비교
- 미술적 창의성의 구성 요소 범주화 및 그 교육적 의미 고찰
- 도자조형 활동이 지적장애 학생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대학 서양화 실기 교과 연구 - 템페라 기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T. J. 디모스와 창의적 생태 센터의 활동 - 기후변화 시대 시각예술의 연구, 교육, 큐레토리얼 실천
-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 탐색 미술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공동 주체성(co-agency)의 가능성과 한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