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사의 그릿과 소명의식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과 교사협력의 이중매개효과
이용수 123
- 영문명
- The Effect of grit on calling: Focusing on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teacher collaboration and teacher efficacy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 저자명
- 이혜원(Lee, Hye Won) 탁정화(Tak Jeong Hwa)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미디어연구』제21권 제3호, 223~24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사 285명을 대상으로 유아교사의 그릿과 소명의식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과 교사협력의 이중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285명으로 연구분석을 실시하였으며 SPSS 21.0 및 Macro Process 3.4를 사용하여 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에 따르면, 유아교사의 그릿, 소명의식, 교사효능감, 교사협력의 인식정도는 평균보다 높았으며 각 변인은 유의미한 수준에서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그릿과 소명의식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었으며, 유아교사의 그릿과 소명의식의 관계에서도 교사협력은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유아교사의 그릿과 소명의식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과 교사협력의 이중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의 소명의식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유아교사의 그릿, 교사효능감, 교사협력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유아교사 개인적 차원뿐만 아니라 교사협력관계의 중요성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dual mediation effect of teacher collaboration and teacher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calling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is, 285 participants across the country conducted the survey through online forms. The measurement tools used for this study include grit, calling, teacher collaboration, and teacher efficacy. For the collected data, SPSS(21.0) was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bootstrapping was performed by using PROCESS Macro(ver.3.4)’s.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of the grit, teacher collaboration, teacher efficacy, and calling had meaningful correlations. Secondly, grit was affected calling, mediating effect of teacher collaboration and teacher efficacy was significant. Third, grit was affected calling, mediating effect of teacher collaboration, and teacher efficacy was significant. This study revealed that teacher collaboration and teacher efficacy are dually mediated in grit and calling. As a result, the significance, limitation, and suggestion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머니의 코로나 19 스트레스와 유아의 놀이성의 관계에서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사회·정서적 유능감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인성, 공감능력, 행복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그릿과 소명의식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과 교사협력의 이중매개효과
- 예비유아교사의 온라인 모의수업에 대한 인식 및 요구
- 유아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 유치원 교사의 디지털 미디어 및 콘텐츠 활용 실제와 신념에 관한 면담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적 학습준비도가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육 분야의 대학교수로서 삶
- 유아 메이커 마인드셋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업중단 위기 고등학생의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은유 활용 자아성찰 프로그램(M-SRP)개발
- 미디어 기반 영어 말하기 포트폴리오 활동이 대학생의 말하기 능력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살아남은 자의 책임과 타자윤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