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 메이커 마인드셋
이용수 224
- 영문명
- Maker mindset in young children: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ker mindset, 21st century skills, and play-centered curriculum principle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 저자명
- 조경진(Kyungjin Cho)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미디어연구』제21권 제3호, 173~20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 메이커 교육과 메이커 마인드셋의 의미를 살펴보고 메이커 마인드셋과 21세기 역량,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핵심 원리의 정의와 이를 뒷받침하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통해 연계성을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 메이커 마인드셋은 자기효능감, 동기, 흥미를 중심으로 유아가 메이킹 활동에서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을 가지고 자발적이고 주도적인 참여를 이끄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메이커 마인드셋과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원리, 21세기 역량은 서로 연계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는 놀이 맥락 속에서 문제 해결을 위해 주도적으로 자신의 아이디어를 탐구하고, 반복적인 실험을 통해 결과물을 만들어내며 이를 공유하는 과정을 통해 메이커 마인드셋인 흥미, 동기, 자아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바탕으로 메이커 교육과 메이커 마인드셋은 21세기 역량인 협력, 의사소통, 콘텐츠, 창조적 혁신, 비판적 사고, 자신감을 형성할 수 있는 접근으로 고려될 수 있다. 이에 유아 메이커 교육과 메이커 마인드셋을 지원하기 위한 교사의 메이커 마인드셋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을 강화하는 교사교육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aning of maker mindset in maker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investigate a relationship between the maker mindset, 21st century skills, and play-centered curriculum principles. The meaning of maker education and mindset was considered to achieve this. 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maker mindset, 21st century skills, and play-centered curriculum principles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aker mindset including self-efficacy, motivation, and interest leads to young children’s initiative and active engagement in making activities with the belief of their abilities. Second,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he maker mindset, play-centered curriculum principles, and 21st century skills. Through young children explore and investigate their ideas to solve the problem, test their ideas iteratively, make creations, and share them with others in the play context, they can improve their maker mindset including interest, motivation, and self-efficacy. Based on this series of experiences, young children can develop 21st century skills including collaboration, communication, confidence, content, creative innovation, and critical thinking. This suggests that professional development needs to develop teacher’s maker mindset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in maker education.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메이커 교육과 마인드셋의 이해
Ⅲ. 메이커 마인드셋, 21세기 역량,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핵심 원리 탐구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머니의 코로나 19 스트레스와 유아의 놀이성의 관계에서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사회·정서적 유능감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인성, 공감능력, 행복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그릿과 소명의식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과 교사협력의 이중매개효과
- 예비유아교사의 온라인 모의수업에 대한 인식 및 요구
- 유아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 유치원 교사의 디지털 미디어 및 콘텐츠 활용 실제와 신념에 관한 면담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적 학습준비도가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육 분야의 대학교수로서 삶
- 유아 메이커 마인드셋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업중단 위기 고등학생의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은유 활용 자아성찰 프로그램(M-SRP)개발
- 미디어 기반 영어 말하기 포트폴리오 활동이 대학생의 말하기 능력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살아남은 자의 책임과 타자윤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