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어머니의 코로나 19 스트레스와 유아의 놀이성의 관계에서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사회·정서적 유능감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이용수 184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COVID 19 Stress and Children’s Playfulness: Dual Mediating Effects of Children’s Over Dependence on Smart Phone and Social/Emotional Competency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저자명
정재은(Jung, Jae-Eun) 백성은(Baek, Sung-Eun) 김경희(Kim, Kyung-hee)
간행물 정보
『어린이미디어연구』제21권 제3호, 201~22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코로나 19 스트레스와 유아의 놀이성의 관계를 알아보고, 그 관계에서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 및 사회·정서적 유능감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S시에 위치한 국공립어린이집에 재원하고 있는 만3-5세 유아 총 436명과 그들의 어머니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어머니의 코로나 19 스트레스 측정을 위해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코로나 19 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을 측정하기 위해 ‘유·아동 스마트폰 중독 관찰자 척도’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코로나 19 스트레스와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은 어머니가 평정하였다. 유아의 놀이성은 ‘유아의 놀이성 검사도구(Children’s Playfulness Scale; CPS)를 사용하였으며 사회·정서적 유능감은 ‘유아의 사회·정서적 유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놀이성과 사회·정서적 유능감은 유아의 행동을 관찰한 후 담임교사가 평정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활용하여 각 변인들의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를 살펴보았고, 구조모형 검증과정은 Mplus7.0의 구조방정식모델(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의 코로나 19 스트레스와 유아의 놀이성 및 유아의 사회·정서적 유능감은 부적상관이 있었으며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과는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은 사회·정서적 유능감 및 놀이성과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사회·정서적 유능감은 놀이성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 코로나 19 스트레스와 유아의 놀이성의 관계에서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사회·정서적 유능감의 순차적 이중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코로나 19와 같은 팬데믹 상황에서 유아의 놀이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다각도로 살펴보고 유아의 놀이성 증진을 위한 방안 모색의 기초 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COVID 19 stress and children’s playfulness, and to verify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over dependence on smart phone and social/ emotional competency in that relationship.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36 children aged 3-5 years and their mothers in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Covid-19 Stress Scale for Koreans’, ‘Children’s Smart Phone Addiction Observer Scale’, ‘Children’s Playfulness Scale(CPS)’, and ‘Children’s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Scale’ were used in the collection of data. For the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s of each variable were examined using SPSS 21.0,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Mplus7.0 was used for the structural model verification proces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COVID 19 stress and children’s playfulness as well as social/emotional competency,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hildren’s over dependence on smart phone. Children’s over dependence on smart phon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cial/emotional competency and playfulness. Children’s social/emotional competenc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layfulness.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COVID 19 stress and children’s playfulness, it was found that children’s over dependence on smart phone and social/ emotional competency were sequentially double mediated.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to examine factors that can affect children’s play in a pandemic situation such as COVID-19 from various angles and to seek ways to improve children’s pla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재은(Jung, Jae-Eun),백성은(Baek, Sung-Eun),김경희(Kim, Kyung-hee). (2022).어머니의 코로나 19 스트레스와 유아의 놀이성의 관계에서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사회·정서적 유능감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어린이미디어연구, 21 (3), 201-221

MLA

정재은(Jung, Jae-Eun),백성은(Baek, Sung-Eun),김경희(Kim, Kyung-hee). "어머니의 코로나 19 스트레스와 유아의 놀이성의 관계에서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사회·정서적 유능감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어린이미디어연구, 21.3(2022): 201-2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