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이용수 329
- 영문명
- Analysis of educational nee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media literacy: Focusing on Borich need assessment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 저자명
- 유영의(Yoo, Yung Eui) 장은정(Jang, Eun Jung) 양선희(Yang, Sun Hee) 이성주(Lee, Seong Joo)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미디어연구』제21권 제3호, 25~5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알아보고자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의 목적에 맞게 미디어 리터러시 요구도 조사를 위한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유아교사 215명을 대상으로 대응표본 t-test,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중심으로 요구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에 있어서 ‘접근과 활용’, ‘소통과 참여’영역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영역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에 있어서 각 영역별 최우선 순위와 차순위를 산출한 결과, ‘접근과 활용’, ‘비판적 이해’, ‘소통과 참여’영역에서 최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요구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필요도와 실행도를 파악하고 유아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를 위해 각 영역별로 어떠한 내용들이 우선적으로 반영되어야 하는지 도출한 데 그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 계획 수립에 있어 기초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know early childhood teachers’ educational needs for media literacy.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questions for media literacy survey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educational needs were analyzed based on paired-sample test, Borich need assessment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Access and Utilization’ and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were found to be important areas to be considered in the media liter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highest and second priority for each area, the highest priority with needs was ‘Access and Utilization’, ‘Critical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identifying the needs and execu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media literacy and deriving which contents should be reflected in each area first for media liter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fully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a media literacy program and establishing an education plan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머니의 코로나 19 스트레스와 유아의 놀이성의 관계에서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사회·정서적 유능감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인성, 공감능력, 행복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그릿과 소명의식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과 교사협력의 이중매개효과
- 예비유아교사의 온라인 모의수업에 대한 인식 및 요구
- 유아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 유치원 교사의 디지털 미디어 및 콘텐츠 활용 실제와 신념에 관한 면담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주도적 학습준비도가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육 분야의 대학교수로서 삶
- 유아 메이커 마인드셋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