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의 온라인 모의수업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이용수 53

영문명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and Demands of Online Mock Classes: Focusing on A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저자명
김사라(Kim, Sarah) 김낙흥(Kim, Nak-Heung)
간행물 정보
『어린이미디어연구』제21권 제3호, 149~17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존의 모의수업 방식에서 벗어나 온라인 수업 형태로 모의수업을 경험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온라인 모의수업에 대한 인식 및 요구를 조사하고, 온라인 모의수업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경기도에 소재한 A 대학의 유아교육과 3학년 재학생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119부를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양적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온라인 모의수업의 인식에서 예비유아교사들은 자료 제작, 자료 공유, 교수자 및 동료 학생 피드백 등에 있어 어렵지 않다고 느끼고 있었다. 둘째, 온라인 모의수업의 요구에서 ICT기술 활용을 위한 추가 교육 요구가 가장 높았으며, 온라인 모의수업의 적정 시연 횟수는 3회로 나타났다. 셋째, 대면 모의수업과 온라인 모의수업을 비교 인식한 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은 모든 문항에서 대면 모의수업을 선호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사양성기관에서 온라인 수업 방식을 적용한 모의수업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online mock classes, out of the existing mock class method,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online mock classes. For this study, questionnaire data of 119 students from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A University were analyzed. The quantitative data gathered from the questionnaire were calculated by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using SPSS 26.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perception of online mock classes,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identified little difficulty regarding material production, data sharing, and feedback from instructors and fellow students. Second, the demand for additional education for utilizing ICT technology was the highest among the demands for online mock classes, and the appropriate number of demonstrations for online mock classes was found to be 3 times. Third,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expressed a considerable preference for face-to-face classes across all questionnaire it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to improve online mock classes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사라(Kim, Sarah),김낙흥(Kim, Nak-Heung). (2022).예비유아교사의 온라인 모의수업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어린이미디어연구, 21 (3), 149-172

MLA

김사라(Kim, Sarah),김낙흥(Kim, Nak-Heung). "예비유아교사의 온라인 모의수업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어린이미디어연구, 21.3(2022): 149-1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