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 인권교육의 실제 및 발전방안 탐색: P대학 프로그램 구성원과의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이용수 355

영문명
Exploration of Practice and Development Plans for University Human Rights Education: Focusing on In-Depth Interviews with P University Program Members
발행기관
한국교육학회
저자명
김미호(Kim, Mi Ho) 김선정(Kim, Seon Jeong)
간행물 정보
『교육학연구』제59권 제2호, 217~246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4.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인권교육에 참여해 본 구성원들의 인식을 통해 현행 대학 인권교육의 실제를 이해하고 미래 발전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P 대학 인권센터의 2020년도 인권교육 프로그램 이수자인 학습자 4인, 그들을 지도한 교수자 2인 및 운영자 1인과의 일대일 심층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주제분석방법을 활용하여 구조화하였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인권교육의 현실 측면: 대학생들에게 인권교육은 가치있는 교육으로 인지되면서도 현실적 우선순위에 밀려 등한시되고, 대학에서도 인권 관련 강의를 부분 개설, 자율 수강에 맡기고 있어 대학 인권교육이 활성화되기에는 상황적 어려움이 존재하고 있다. 둘째, 교수-학습 측면: 대학 인권교육은 교육대상자의 삶과 밀접한 교육 소재 및 실질적 인권 역량을 배양할 수 있는 교육내용, 오프라인에서 자유롭게 소통·공감·토론하는 소그룹 형태 교육방법이 효과적인 것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셋째, 제도 및 운영 측면: 인권친화적 대학 문화 형성을 위해 교과교육 차원에서 대학생들이 인권교육을 경험할 수 있는 교과목 선택의 폭을 확대하거나, 대학공동체 내 모든 구성원들(학생, 교수, 직원, 환경미화원 등)이 인권교육을 의무 이수토록 장려하는 제도 등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한 개 대학의 인권교육 사례에 국한된 한계가 있지만, 인권교육 현장의 다양한 유형의 참여자들의 인식을 종합하여 대학 인권교육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향후 대학 인권교육 발전을 위한 연구의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current human rights education at a university and to explore ways to develop it in the future. To this end, one-on-on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our learners, two professors, and one operator, who completed the 2020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at a university Human Rights Center.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tructured using the subject analysis method, and the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reality of human rights education at universities, human rights education is neglected as a realistic priority even though it is recognized as valuable education, and universities also partially open human rights-related lectures and leave them to be self-taught. Second, as for the aspect of teaching and learning, university human rights education was recognized and preferred as effective in educational content in that it can foster educational materials, practical human rights capabilities, and small group-type educational methods that communicate, sympathize, and discuss offline. Third, to create a human rights-friendly university culture, various measures were proposed, such as expanding the choice of subjects for college students to experience human rights education and encouraging all members of the university community (students, professors, administrative staff, janitorial staff, etc.). Although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case of human rights education at one university, it can be the basis for futur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human rights education at universities in general in that it presents future development plans by aggregating the perceptions of various types of participants.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미호(Kim, Mi Ho),김선정(Kim, Seon Jeong). (2021).대학 인권교육의 실제 및 발전방안 탐색: P대학 프로그램 구성원과의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59 (2), 217-246

MLA

김미호(Kim, Mi Ho),김선정(Kim, Seon Jeong). "대학 인권교육의 실제 및 발전방안 탐색: P대학 프로그램 구성원과의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59.2(2021): 217-2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