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수업방해 행위 및 방해학생들의 유형과 특징: 중학교 교실 참여관찰

이용수 1045

영문명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Classroom Disruption and Disruptive Students: Participant Observation in Middle School Classrooms
발행기관
한국교육학회
저자명
성열관(Sung, Youl Kwan)
간행물 정보
『교육학연구』제59권 제2호, 191~21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4.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많은 중등학교 교실에서 수업방해 문제가 심각하다는 이야기는 넘쳐나나 사실상 한국에서 그 유형과 특성에 대해 심층적으로 밝힌 연구는 많지 않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서 본 연구는 2019년도에 두 학기에 걸쳐 중학교 교실을 참여관찰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연구질문에 대답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질문은 첫째, 중학교 교실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수업방해 행위 및 방해학생들의 유형과 특징은 무엇인가? 둘째, 수업을 방해하는 현상의 기저에 무엇이 놓여있는가이다. 연구결과 수업을 방해하는 다양한 행위중에서, 속닥거리기, 놀리기, 소음 만들어 내기와 같이 간단한 주의만으로도 충분히 대응가능한 수업방해가 있는 반면 돌아다니거나 서서 장난치기, 진로방해하기, 교실 이탈하기 등 심각한 수업방해 행위도 있었다. 수업방해 학생들의 유형과 특징에 대해 알아본 결과, 학업성취도가 높으면서 수업을 방해하는 아이들, 학업성취도가 낮으면서 수업을 방해하는 아이들, 관심이 그리워 부정적 방향으로 관심을 끄는 아이들, 가정에서 문제를 들고 온 아이들 등으로 구분될 수 있었다. 종합해 보면, 수업시간에 떠들면서 수업을 방해하는 행위에의 참여는 성적의 높고 낮음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다. 단지 학업성취도에 따른 수업방해 방식에 차이가 있었다. 이 연구에서 살펴본 다양한 수업방해 현상의 기저에는 ‘수업의 도구화, 교육의 수단화’ 문화와 깊은 관련이 있었다. 수업의 도구화는 이 연구에서 드러낸 ‘놀면서 공부하기’ 현상과 깊은 관련이 있었다. 이는 수업의 문화적 성격과 관련된 것으로 이후에 수업방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도 수업문화 차원에서의 처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과거에 체벌로 통제되던 교실에서 교사와 학생 사이의 관계가 민주적으로 변한 오늘날, 이 연구는 교실에서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 수업방해 현상을 그대로 드러냄으로써 향후 수업문화 구축 전략 개발에 있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classroom disruption in South Korea despite a large amount of discourse concerning many students repeatedly interfering with class in secondary schools. Addressing this issue, this study sought to answer the following two research questions by observing middle school classroom teaching over two semesters in 2019. This study first investigates what the typical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classroom disruption are. Second, the study examined the types of students engaging in classroom disturbance. As a result, this study shows that students participate in low-level disruption such as chatting with one another, teasing, and making noise, which could be mitigated by a teacher s warning. On the other hand, serious patterns of classroom disruption occur with misbehavior such as wandering, interfering with the teacher s instructional plan, ignoring the teacher s instructions, and leaving the classroom. These students were categorized into several types: high-achiever disengagement, low-achiever disengagement, students with negative attention-seeking behaviors, and students who bring problems from home. In summary, whether to participate in classroom disruption is not always something that has to do with the student s level of achievement;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in ways of disrupting classes according to the level of achievement. Overall, students are continuously and invisibly compromising with their teachers during class, which can be referred to as class engagement with relaxation or relaxation with engagement. This study contributes to better classroom management by revealing what actually occurs in the classroom with respect to classroom disturbance, considering that today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is more democratic, part of which previously displayed authoritarian control, including corporal punishment.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수업방해의 유형과 특징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성열관(Sung, Youl Kwan). (2021).수업방해 행위 및 방해학생들의 유형과 특징: 중학교 교실 참여관찰. 교육학연구, 59 (2), 191-216

MLA

성열관(Sung, Youl Kwan). "수업방해 행위 및 방해학생들의 유형과 특징: 중학교 교실 참여관찰." 교육학연구, 59.2(2021): 191-2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