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이용수 1145

영문명
Development of the Core Competences Diagnostic Instrument for Undergraduate Students in Korea
발행기관
한국교육학회
저자명
김현욱(Kim, Hyun-Wook) 이현민(Lee, Hyunmin)
간행물 정보
『교육학연구』제59권 제2호, 307~331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4.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핵심역량 진단에 대한 어려움을 해소하고,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로서 한국의 대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공통적인 핵심역량을 진단하는 도구를 개발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 대학생 핵심역량은 미래사회의 인재로서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 등을 상황에 맞게 종합하고 활용하는 행동 성향으로 정의하였다.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을 위해 문항 초안 개발단계, 예비조사 단계, 본조사 단계로 실시하였으며, 문항 초안 개발을 위해 기존 조사도구 문항 검토 및 활용, 대학생 및 HR담당자 인터뷰를 통해 문항 초안 296문항을 개발하였다. 고등교육 전문가 3인을 대상으로 내용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예비조사로 대학생 914명의 자료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14개 요인, 59문항을 도출하였다. 본조사로 전국의 대학생 8,968명의 자료를 분석하여, 변별타당도, 구인타당도,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14요인 59문항이 도출되었고,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RMSEA .077, GFI .935, IFI .951, GFI .951로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신뢰도분석 결과 .819~.895로 신뢰도가 확보되었다. 최종적으로 도출된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의 구조는 주체적 차원, 객체적 차원, 사회적 차원으로 총 14요인 59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주체적 차원은 자기이해, 진로이해, 자기개발, 진로설계, 자기관리의 하위 역량의 19문항, 객체적 차원은 4 IR 기술활용, 정보처리, 정보탐색, 문제해결, 문해력의 22문항, 사회적 차원은 글로벌, 공감 및 소통, 시민의식, 협동의 18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실천을 위한 제언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olve the difficulties in diagnosing the core competencies of undergraduate students and to develop a diagnostic tool for core competencies that undergraduate students must possess as talents required by society in the future. In this study, the core competencies of undergraduate students were defined as a disposition that synthesizes and utilizes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required as competencies. To develop the core competency diagnostic tool for undergraduate students,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ree stages: (a) the initial questionnaire development stage, (b) the preliminary survey stage, and (c) the main survey stage, and 296 draft questions were developed through the review and use of existing survey tools and interviews with university students and HR managers. Content validity was secured by three experts in higher education. In a preliminary survey, as a result of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data from 914 undergraduate students, 59 question items were constructed for 14 factors. By analyzing the data of 8,968 undergraduate students in Korea in the main survey, discriminative validity,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secured. As a result of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MSEA .077, GFI .935, IFI .951, and GFI .951 were confirmed to be suitable. As a result of the reliability analysis, the reliability was secured as .819-.895. The structure of the final core competency diagnostic assessment consisted of the 59 question items in the subjective development-related dimension, the object-related dimension, and the organization-related dimension. The subjective development-related dimension consisted of 19 questions related to self-comprehension, career comprehension, self-development, career plan, and self-management; the object-related dimension consisted of 22 questions related to 4 IR technology literacy, information processing, information retrieval, problem solving, and literacy; and the organization-related dimension consisted of 18 questions related to global, sympathy-communication, citizenship, and cooperation competencies. Based on this, suggestions for practice and subsequent research were made.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현욱(Kim, Hyun-Wook),이현민(Lee, Hyunmin). (2021).대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교육학연구, 59 (2), 307-331

MLA

김현욱(Kim, Hyun-Wook),이현민(Lee, Hyunmin).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교육학연구, 59.2(2021): 307-3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