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Creswell(1998)의 질적연구 유형 분류방식의 유용성과 한계: 교육전기 접근방법을 통한 비판적 성찰 기록
이용수 451
- 영문명
- Critical Reflection on the Usefulness and Limitations of Creswell’s (1998) Taxonomy of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es: An Educational Biography Approach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변기용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2권 제2호, 59~94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Creswell(1998)의 질적연구 유형 분류방식의 유용성과 한계에 대해 한 질적연구자가 작성한 비판적 성찰 기록이다. 성찰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Creswell의 문제인식처럼 서로 다른 질적연구 접근법의 특징과 적용 방식을 명확히 이해하고, 연구목적에 따라 그에 적합한 접근법을 제대로 적용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 하지만 (2) Creswell(1998)과 같이 다섯 가지 질적연구 접근법(내러티브 탐구, 현상학적 질적연구, 문화기술지, 근거이론적 방법, 사례연구)을 병렬적으로 나열하는 것보다는, 사례연구를 다른 세부 질적연구 접근법을 가로지르는 공통적 특성을 가지는 질적연구의 기본 유형으로 분류하는 것이 타당하다. 아울러 (3) 질적연구의 세부 접근법들 간에는 서로 중첩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이들을 단순히 병렬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평면적으로 구분하여 설명하는 방식은 초보연구자들에게 혼란을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 논의 결과에 기초하여 결론에서는 Creswell(1998)의 질적연구 유형 분류방식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적 관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critical reflection by a qualitative researcher on the usefulness and limitations of Creswell(1998)’s five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es. The results of the reflection show that (1) as Creswell(1998) suggests, it is important to clearly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 of different approaches, and to properly apply the appropriate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research. However, (2) rather than listing the five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es (narrative, phenomenology, ethnography, grounded theory, and case study) in parallel, as Creswell (1998) does, it is appropriate to categorize case study as a basic type of qualitative research with common characteristics that cut across the other sub-types of qualitative research. Furthermore, (3) There is a lot of overlap between the different approaches to qualitative research, so a flat description of them as simply existing in parallel is likely to confuse novice research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discussion, the conclusion presents an alternative perspective that can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Creswell’s(1998) categorization of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es.
목차
Ⅰ. 서론
II. Creswell(1998)의 질적연구 유형 분류방식과 주요 특징
Ⅲ. 연구방법
IV. Creswell(1998)의 질적연구 유형 분류방식의 유용성과 한계: 주요 쟁점과 나의 성찰 기록
V.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플립러닝 환경에서 학습몰입 요인의 질적 탐색
- 학생들이 인식하는 학교폭력의 정의와 원인: 개념적 모호함과 학생 간 역학관계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 발달 양상: 위험요인의 동시 및 지연효과와 보호요인의 조절효과
- Creswell(1998)의 질적연구 유형 분류방식의 유용성과 한계: 교육전기 접근방법을 통한 비판적 성찰 기록
-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 문제행동의 메타분석: 메타구조방정식 모형의 적용
- 영유아 학부모 “교육열” 형성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인스타그램” 중심 “책육아” 현상에 대한 행위자-네트워크 분석
- 수업 체계성과 일관성이 대학생의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국제 바칼로레아 초등 프로그램(IB PYP)의 종단적 효과: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와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 중・고등학교 시기 사교육 및 자기주도학습 시간의 종단적인 변화에 따른 집단 분류 및 대학교 시기의 핵심역량에 대한 영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척도 검사 설계를 적용한 수직척도화
- 고등학생의 진로적응력 주요 예측변수 탐색: XGBoost 및 SHAP 적용
- 초등학교 수학 기초학력 진단검사 문항난이도와 문항변별도에 미치는 요인 탐색 및 예측 모형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