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고등학교 시기 사교육 및 자기주도학습 시간의 종단적인 변화에 따른 집단 분류 및 대학교 시기의 핵심역량에 대한 영향 분석
이용수 150
- 영문명
- Impact of Private and Self-Regulated Learning Time During Middle/High School Years on University Core Competencies: A Latent Class Classification Approach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이슬기 김래영 유연주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2권 제2호, 165~19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시기의 사교육 및 자기주도학습 시간이 대학교 시기의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한국교육종단연구2013 5차∼9차 데이터 중 9차 년도에 일반대학교에 진학한 2,946명의 데이터를 표본으로 선정하고, 이들의 중학교 3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의 데이터와 대학 진학 후의 핵심역량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학생들의 사교육 시간과 자기주도학습 시간의 종단적인 변화 양상을 다변량 성장혼합모형으로 분류한 결과, 학생들을 네 개의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각 유형의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학생의 교육포부가 높을수록 자기주도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부모의 학업적 지원과 정서적 지원, 가구소득 및 부모의 학력과 같은 가정변인은 사교육 및 자기주도학습 시간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집단에 따른 대학교 1학년 시기의 핵심역량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중・고등학교 시기의 자기주도학습시간이 높았던 유형의 학생들이 대학교 시기 핵심역량의 수준이 모두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 시간을 사교육 및 자기주도학습 시간을 함께 고려하여 종단적인 변화 양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과 장기적으로 높은 수준의 핵심역량을 지닐 수 있게끔 중・고등학교 시기에 학습 시간을 구성해야 할 필요성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impact of private learning and self-regulated learning time during middle and high school years on core competencies during the first university year, utilizing data from the 5th to 9th waves of the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A sample of 2,946 students entered universities in the 9th wave was analyzed. Employing a multivariate growth mixture model,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based on their longitudinal patterns of private learning and self-regulated learning time.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classification of each type revealed that students’ individual factors and family factors collectively influenced private learning and self-regulated learning time. Additionally, differences in core competencies during the first university year across each type indicated that students with higher self-regulated learning time during middle and high school exhibited higher levels of core competencies during universi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s students’ longitudinal patterns of learning time by considering both private and self-regulated learning time, and it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structuring learning time during middle and high school to cultivate high levels of core competenc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플립러닝 환경에서 학습몰입 요인의 질적 탐색
- 학생들이 인식하는 학교폭력의 정의와 원인: 개념적 모호함과 학생 간 역학관계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 발달 양상: 위험요인의 동시 및 지연효과와 보호요인의 조절효과
- Creswell(1998)의 질적연구 유형 분류방식의 유용성과 한계: 교육전기 접근방법을 통한 비판적 성찰 기록
-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 문제행동의 메타분석: 메타구조방정식 모형의 적용
- 영유아 학부모 “교육열” 형성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인스타그램” 중심 “책육아” 현상에 대한 행위자-네트워크 분석
- 수업 체계성과 일관성이 대학생의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국제 바칼로레아 초등 프로그램(IB PYP)의 종단적 효과: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와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 중・고등학교 시기 사교육 및 자기주도학습 시간의 종단적인 변화에 따른 집단 분류 및 대학교 시기의 핵심역량에 대한 영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척도 검사 설계를 적용한 수직척도화
- 고등학생의 진로적응력 주요 예측변수 탐색: XGBoost 및 SHAP 적용
- 초등학교 수학 기초학력 진단검사 문항난이도와 문항변별도에 미치는 요인 탐색 및 예측 모형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