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고등학교 시기 사교육 및 자기주도학습 시간의 종단적인 변화에 따른 집단 분류 및 대학교 시기의 핵심역량에 대한 영향 분석

이용수 16

영문명
Impact of Private and Self-Regulated Learning Time During Middle/High School Years on University Core Competencies: A Latent Class Classification Approach
발행기관
한국교육학회
저자명
이슬기 김래영 유연주
간행물 정보
『교육학연구』제62권 제2호, 165~19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시기의 사교육 및 자기주도학습 시간이 대학교 시기의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한국교육종단연구2013 5차∼9차 데이터 중 9차 년도에 일반대학교에 진학한 2,946명의 데이터를 표본으로 선정하고, 이들의 중학교 3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의 데이터와 대학 진학 후의 핵심역량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학생들의 사교육 시간과 자기주도학습 시간의 종단적인 변화 양상을 다변량 성장혼합모형으로 분류한 결과, 학생들을 네 개의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각 유형의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학생의 교육포부가 높을수록 자기주도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부모의 학업적 지원과 정서적 지원, 가구소득 및 부모의 학력과 같은 가정변인은 사교육 및 자기주도학습 시간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집단에 따른 대학교 1학년 시기의 핵심역량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중・고등학교 시기의 자기주도학습시간이 높았던 유형의 학생들이 대학교 시기 핵심역량의 수준이 모두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 시간을 사교육 및 자기주도학습 시간을 함께 고려하여 종단적인 변화 양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과 장기적으로 높은 수준의 핵심역량을 지닐 수 있게끔 중・고등학교 시기에 학습 시간을 구성해야 할 필요성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impact of private learning and self-regulated learning time during middle and high school years on core competencies during the first university year, utilizing data from the 5th to 9th waves of the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A sample of 2,946 students entered universities in the 9th wave was analyzed. Employing a multivariate growth mixture model,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based on their longitudinal patterns of private learning and self-regulated learning time.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classification of each type revealed that students’ individual factors and family factors collectively influenced private learning and self-regulated learning time. Additionally, differences in core competencies during the first university year across each type indicated that students with higher self-regulated learning time during middle and high school exhibited higher levels of core competencies during universi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s students’ longitudinal patterns of learning time by considering both private and self-regulated learning time, and it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structuring learning time during middle and high school to cultivate high levels of core competenc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슬기,김래영,유연주. (2024).중・고등학교 시기 사교육 및 자기주도학습 시간의 종단적인 변화에 따른 집단 분류 및 대학교 시기의 핵심역량에 대한 영향 분석. 교육학연구, 62 (2), 165-194

MLA

이슬기,김래영,유연주. "중・고등학교 시기 사교육 및 자기주도학습 시간의 종단적인 변화에 따른 집단 분류 및 대학교 시기의 핵심역량에 대한 영향 분석." 교육학연구, 62.2(2024): 165-1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