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 플립러닝 환경에서 학습몰입 요인의 질적 탐색
이용수 187
- 영문명
- Qualitative Exploration of Learning Engagement Factors in University Flipped Learning Environment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박경은 송해덕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2권 제2호, 29~5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플립러닝을 활용한 수업의 효과성, 교수설계 등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지만 수업에 참여하는 학습자의 관점에서 학습몰입 요인을 탐색한 경우는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플립러닝에서 학습몰입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탐색하고자 한다. 몰입은 학습자가 경험하고 느끼는 동기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어 상황학습기반 대학 플립러닝 환경에서 학습몰입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근거이론의 방법으로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대학생들의 플립러닝에 관한 이야기는 선택 코딩을 통해 핵심범주와 유형으로 ‘개인의 흥미, 목표와 일치하는 학습맥락’, ‘학습과정 전체에 영향을 주는 학습내용’, ‘온라인으로 소통하고, 강의실에서 함께하는 학습환경’, ‘학습자의 개인자원에 따른 학습전략’ 등이 도출되었다. 핵심범주의 가설정형화 과정을 거쳐 기본심리욕구가 학습몰입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출된 이론을 토대로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수자가 학습환경을 계획할 때 학습자의 기본심리욕구를 고려하여 학습몰입에 영향을 주는 실제 학습환경을 위한 교수설계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Although various studies on the effectiveness of class using flipped learning and instructional design have been attempted, there are few cases where learning engagement factors have been explored from the perspective of learners participating in class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explore the factors that affect learning commitment in flipped learning. Engagement varies depending on the degree of motivation experienced and felt by learners, so it was considered as a method of grounded theory to explore learning engagement factors in a situation learning-based university flipped learning environment.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core categories and types of college students’ flipped learning stories include ‘learning context consistent with individual interests and goals’, ‘learning content that affects the entire learning process’, ‘learning environment to communicate online and share in classrooms’, and ‘learning strategies according to learners’ personal resources.’ It was found that basic psychological needs affect learning commitment through the process of hypothesizing formalization of key categories. It is meaningful that the model was presented based on the derived theory, and based on this, the instructor presented implications for instructional design in consideration of the learner’s basic psychological needs when planning the learning environ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플립러닝 환경에서 학습몰입 요인의 질적 탐색
- 학생들이 인식하는 학교폭력의 정의와 원인: 개념적 모호함과 학생 간 역학관계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 발달 양상: 위험요인의 동시 및 지연효과와 보호요인의 조절효과
- Creswell(1998)의 질적연구 유형 분류방식의 유용성과 한계: 교육전기 접근방법을 통한 비판적 성찰 기록
-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 문제행동의 메타분석: 메타구조방정식 모형의 적용
- 영유아 학부모 “교육열” 형성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인스타그램” 중심 “책육아” 현상에 대한 행위자-네트워크 분석
- 수업 체계성과 일관성이 대학생의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국제 바칼로레아 초등 프로그램(IB PYP)의 종단적 효과: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와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 중・고등학교 시기 사교육 및 자기주도학습 시간의 종단적인 변화에 따른 집단 분류 및 대학교 시기의 핵심역량에 대한 영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척도 검사 설계를 적용한 수직척도화
- 고등학생의 진로적응력 주요 예측변수 탐색: XGBoost 및 SHAP 적용
- 초등학교 수학 기초학력 진단검사 문항난이도와 문항변별도에 미치는 요인 탐색 및 예측 모형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