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 문제행동의 메타분석: 메타구조방정식 모형의 적용
이용수 255
- 영문명
- Meta-Analysis of Parenting Attitudes of Parents and Problem Behavior of Young Children: Application of Met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정선영 조한익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2권 제2호, 195~228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 문제행동의 관련성은 어떠한지,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 문제행동은 어떠한 인과관계가 있는지 메타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0년도부터 2023년도 6월까지 국내에 발간된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 문제행동에 관한 논문들을 검토하여 학위논문 42편, 학술논문 33편 총 75편의 논문들을 분석하였다. 변인 간 상호상관을 살펴본 결과 긍정적 양육태도와 내재적 문제행동, 긍정적 양육태도와 외현적 문제행동은 중간 수준의 부적 효과크기가 나타났으며, 부정적 양육태도와 내재적 문제행동, 부정적 양육태도와 외현적 문제행동은 중간 수준의 정적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긍정적 양육태도와 부정적 양육태도는 부적인 큰 효과 크기가 나타났으며, 내재적 문제행동과 외현적 문제행동은 정적인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메타구조적 관계를 살펴본 결과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는 유아의 내재적 문제행동과 외현적 문제행동에 부적인 작은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부모의 부 정적 양육태도는 유아의 내재적 문제행동과 외현적 문제행동에 중간수준의 정적인 효과크기를 보이고 있었다.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 문제행동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유아의 문제행동을 낮출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pply a meta-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parenting attitudes and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 and what kind of causal relationship exists between parents’ parenting attitudes and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 To achieve research questions, the researchers searched for various databases and analyzed 42 theses and 33 journals from 2000 to June 2023. When examining the inter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intrinsic problem behavior,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external problem behavior showed medium levels of negative effect sizes, negative parenting attitude and intrinsic problem behavior, and negative parenting attitude and external problem behavior showed medium levels of positive effect sizes.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showed large negative effect sizes, and intrinsic and external problem behaviors showed large positive effect sizes. When examining the meta-structural relationship, parents’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showed small negative effect sizes on young children’s intrinsic and external problem behaviors, and parents’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showed medium levels of positive effect sizes on young children’s intrinsic and external problem behavio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ought ways to lower the problem behavior of young children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parenting attitudes and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플립러닝 환경에서 학습몰입 요인의 질적 탐색
- 학생들이 인식하는 학교폭력의 정의와 원인: 개념적 모호함과 학생 간 역학관계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 발달 양상: 위험요인의 동시 및 지연효과와 보호요인의 조절효과
- Creswell(1998)의 질적연구 유형 분류방식의 유용성과 한계: 교육전기 접근방법을 통한 비판적 성찰 기록
-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 문제행동의 메타분석: 메타구조방정식 모형의 적용
- 영유아 학부모 “교육열” 형성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인스타그램” 중심 “책육아” 현상에 대한 행위자-네트워크 분석
- 수업 체계성과 일관성이 대학생의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국제 바칼로레아 초등 프로그램(IB PYP)의 종단적 효과: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와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 중・고등학교 시기 사교육 및 자기주도학습 시간의 종단적인 변화에 따른 집단 분류 및 대학교 시기의 핵심역량에 대한 영향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