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finition and Causes of School Violence as Perceived by Students : Focusing on Conceptual Ambiguity and Inter-student Dynamics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김유원 안영은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2권 제2호, 95~126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생들이 일상 속에서 경험하는 학교폭력의 기준과 원인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다양한 학생들의 관점을 파악하기 위해 의도적 표집 전략의 일종인 할당 표집을 실시하였고, 서울 지역 중・고등학교 학생 20명으로부터 도출한 면담 자료를 통해 귀납적 주제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학교폭력을 법에 정의된 바와 유사하게 설명하고 있었지만, 학생들의 심리적 피해에 대한 인식은 주관적・상대적이기 때문에 실제 일상에서 장난과 괴롭힘을 명확히 구분하기는 어렵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학생들은 학교폭력을 집단 내에서 가해학생이 피해학생을 대상으로 우월감을 추구하고 혐오감을 표출하는 과정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가해학생과 피해학생의 관계는 주변학생이 다수가 되는 경우 변화될 수 있었다. 면담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으로 지위와 권력이라는 개념과 관련해 학교폭력 현상을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교폭력의 개념적 모호함을 유발하는 장난과 괴롭힘을 구분하는 기준은 학생 간 지위・권력의 격차에 달려 있고, 우월감 추구 및 혐오감 표출 또한 지위・권력을 획득하고자 하는 학생들 간의 역학관계 안에서 설명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에 따라 학교폭력 예방 교육 및 대응 정책에서 지위와 권력의 측면을 고려해야 하고, 다양한 교육 영역에서 학생들이 다름을 이해하고 공존할 수 있는 시민성 교육이 강화되어야 하며, 일반 학생이 다수가 되는 학교 분위기를 조성하여 학교 내에서의 권력 구조를 변화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ed allocation sampling and inductive thematic analysis of interview data from 2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to understand their perceptions of school violence that students experience in their daily live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explained school violence similarly to what was defined in the law, but they responded that it was difficult to clearly distinguish between teasing and harassment in real life because students’ perception of psychological damage was subjective and relative. Second, students described school violence as a process in which the perpetrators sought superiority and expressed disgust with the victims within the group. However, it seemed that this dynamic could change when the number of other students around them increa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students were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experiencing the phenomenon of school violence according to their status and power. This is because the criterion for distinguishing between teasing and harassment, which causes the conceptual ambiguity of school violence, depends on the gap of status and power between students, and the pursuit of superiority and expression of disgust could also be explained in the dynamics between students who want to acquire status and power. Based on the result, the study suggests considering status and power dynamics in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and response policies, strengthening citizenship education for coexistence in various educational fields, and efforts to change the power structure within schools by fostering a school atmosphere where students other than the perpetrators and victims have more agenc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플립러닝 환경에서 학습몰입 요인의 질적 탐색
- 학생들이 인식하는 학교폭력의 정의와 원인: 개념적 모호함과 학생 간 역학관계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 발달 양상: 위험요인의 동시 및 지연효과와 보호요인의 조절효과
- Creswell(1998)의 질적연구 유형 분류방식의 유용성과 한계: 교육전기 접근방법을 통한 비판적 성찰 기록
-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 문제행동의 메타분석: 메타구조방정식 모형의 적용
- 영유아 학부모 “교육열” 형성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인스타그램” 중심 “책육아” 현상에 대한 행위자-네트워크 분석
- 수업 체계성과 일관성이 대학생의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국제 바칼로레아 초등 프로그램(IB PYP)의 종단적 효과: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와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 중・고등학교 시기 사교육 및 자기주도학습 시간의 종단적인 변화에 따른 집단 분류 및 대학교 시기의 핵심역량에 대한 영향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