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력 소비 지표 분석을 통한 대학 건물의 에너지 소비 특성에 관한 연구- S대학의 용도별 부하프로필(Load Profiling) 분석을 중심으로 -

이용수 18

영문명
A Study on the Energy Consumption Characteristics in University Buildings based on the Analysis of Power Consumption Indicators - Focused on Load Profiling of S-University -
발행기관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저자명
정혜진(Hyejin Jung) 김진아(Kim Jina)
간행물 정보
『에너지기후변화교육』제8권 제2호, 99~111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1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교육기관은 사용자 참여에 의한 에너지 절감이 매우 중요하고, 이를 위한 인식 제고 활동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그동안 에너지 관련 데이터가 주로 관리자 중심으로 생산되었으며, 사용자들의 인식 제고와 교육을 위한 정보 생산에는 한계가 있었다. 왜냐하면, 종래의 관리시스템인 BEMS나 BAS는 주로 개별적인 건물 단위의 특성 정보에 집중하였기 때문이다. 대학은 일정한 구역 내에 다양한 종류의 건물들이 존재하므로 지표 값 도출을 통한 에너지 사용 특성 및 온실가스 배출, 그리고 벤치마킹 분석에 유리한 조건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표 분석을 통해 용도별 사용 패턴을 분류하고, 부하 프로파일링을 통해 에너지 소비 특성을 도출하는 프로세스를 실증하여 교육 및 홍보 등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에너지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다양한 에너지 소비지표 중 에너지집약도, 기저부하, 냉난방 민감도의 수준을 고려한 그룹 분류, 그리고 이의 특성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방법을 예시하였다. 고도의 기술적인 분석 대신에 대학 캠퍼스에 적합한 수준의 데이터분석만으로도 사용자들과 소통 가능한 정보를 생산하고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다. 관계 법규에 의하여 에너지 데이터가 생산되고 있지만, 전문 인력과 운영 예산 부족으로 소홀했던 대학의 에너지 정보 관리를 강화하여 에너지 다소비 집단으로 알려진 대학의 에너지 절감 활동이 효율적으로 이행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energy savings from user-participation are crucial for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awarenessbuilding activities are essential as well. However, energy related data have been mainly produced by manager group, thus there have been limitations in producing information that users can easily understand or use in education. This is because BEMS or BAS, which is a conventional management system, mainly focused on technical information on building unit itself. Universities have various kinds of buildings within certain area, thus benchmarking analysis through derivation of indicator values ​​is favorable condition. In this study, the usage patterns were classified by analysis of indicators. We also present energy analysis results that can be applied variously to education and announcement by demonstrating the process of energy management through 3-year power load profiling. The group classification considering the level of energy intensity, base load, and temperature sensitivity among various energy indicators, and how to understand and interpret their results and characteristics. Instead of highly technical analysis, only basic level of data analysis suitable for university campuses can produce interactive information with users and use it on the education fields. It is expected that energy saving activities by universities, which are known as big power consumption groups, will be effectively implemented by strengthening energy information creation, which is being neglected due to lack of professional manpower and system operation cos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의 내용 및 방법
Ⅲ. 연구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혜진(Hyejin Jung),김진아(Kim Jina). (2018).전력 소비 지표 분석을 통한 대학 건물의 에너지 소비 특성에 관한 연구- S대학의 용도별 부하프로필(Load Profiling) 분석을 중심으로 -. 에너지기후변화교육, 8 (2), 99-111

MLA

정혜진(Hyejin Jung),김진아(Kim Jina). "전력 소비 지표 분석을 통한 대학 건물의 에너지 소비 특성에 관한 연구- S대학의 용도별 부하프로필(Load Profiling) 분석을 중심으로 -." 에너지기후변화교육, 8.2(2018): 99-1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