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싱가포르 초등 과학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제시된 에너지 영역 내용 요소 분석

이용수 79

영문명
Analysis on the Content Elements of 「Energy」 Domains presentedin the Primary Science Curriculum and Textbooks of Singapore
발행기관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저자명
박재근(Park Jae Keun)
간행물 정보
『에너지기후변화교육』제8권 제2호, 129~140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1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싱가포르의 과학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초등학교 에너지 교육의 적정성을 확보하고, 내용 요소 구성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데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싱가포르 과학교육과정에는 필수 개념과 핵심탐구질문을 제시하여 에너지 교육에 대해 통합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또한, 핵심탐구질문이 필수 개념과 세부 내용 요소를 위계적으로 연결해 주고 있다. 둘째, 내용 요소는 에너지 개념 영역의 비율이 높고, 에너지 문제 해결 방안이나 에너지 절약 생활 영역의 비율은 낮았다. 셋째, 워크북의 탐구 활동은 3~4학년군의 경우, 기초탐구 기능 중심, 5~6학년군은 통합탐구 기능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고, 도구와 장치를 활용한 실험하기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를 바탕으로 할 때, 추후 교육과정 개정에서는 교과 영역을 넘어서는 통합적 관점에서의 단원 설정과 내용 구성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또한, 에너지 문제 해결 방안, 에너지 절약 생활에 속하는 내용 요소의 비중을 늘리고, 구체적인 도구와 장치를 활용하는 통합적 탐구 활동의 구성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cience curriculum and textbooks in Singapore to secure the appropriateness of energy education and to obtain implications for the composition of content elements in energy education of primary schoo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cience curriculum in Singapore had an integrated approach to energy education by presenting essential takeaways and key inquiry questions. In addition, key inquiry questions linked the essential takeaways and detailed content elements hierarchically. Second, the content elements had a high ratio of ‘energy concept’ domain, and the ratio of ‘energy problem solving methods’ and ‘energy saving’ domain was low. Third, the inquiry activities presented in workbooks consisted of ones reflecting the basic skills for 3-4 lower block, and ones reflecting the integrated skills for 5-6 upper block. Also the proportion of experimenting using apparatus and equipment was high.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vision of the curriculum in the future will require unit setting and content composition from an integrated viewpoint beyond the detailed subject area.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weight of ‘energy problem solving methods’ and ‘energy saving’ domain, and to construct experimenting activities using specific apparatus and equipmen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및 내용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재근(Park Jae Keun). (2018).싱가포르 초등 과학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제시된 에너지 영역 내용 요소 분석. 에너지기후변화교육, 8 (2), 129-140

MLA

박재근(Park Jae Keun). "싱가포르 초등 과학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제시된 에너지 영역 내용 요소 분석." 에너지기후변화교육, 8.2(2018): 129-1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