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천부경(天符經)의 구조적 고찰을 통한 주역(周易)과의 일치성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Consistency with the Juyeok(周易) through Structural Examination of the Cheonbukyeong(天符經)
발행기관
한국인간과자연학회
저자명
정문경(Moon Kyung Jung)
간행물 정보
『인간과자연』제6권 제1호, 729~777쪽, 전체 49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8,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천부경(天符經)의 구조적 고찰을 통해서 주역(周易)과의 일치성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천부경, 주역이다. 연구 방법은 먼저 천부경의 중심인 육(六)을 분석하여 무극(無極)에서 일태극(一太極)이 생성되어 내괘(內卦)를 형성하고 십체구용(十體九用)인 상괘(上卦)와 하괘(下卦)을 이루어 주역 64괘를 만들고 오황극(五黃極) 작용에 의해 외괘(外卦)을 이루는 과정을 설명하므로써 천부경 81자(字)의 구조가 곧 주역임을 논하였다. 두번째, 주역의 계사전(繫辭傳) 내용과 노자의 도덕경(道德經), 태극도설(太極圖說) 등의 내용을 인용하여 천부경과 비교 고찰함으로써 천부경과 주역은 서로 상호 보완하는 관계에 있으며 서로 일치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세번째, 주역의 원형리정(元亨利貞)을 천부경의 구조와 원리로 설명하여 주역과 천부경은 같은 이치이며 같은 구조를 지니고 있다는 것을 논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천부경의 구조는 주역의 내괘 상괘 하괘 외괘가 함께 입체적으로 존재하며 주역의 64괘가 형성되어져 있다는 것, 즉 천부경과 주역은 상호 일치하고 있다는 것이다. 주역의 근원은 천부경에 있고 천부경의 못 다한 말은 주역에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지금까지 선행논문들은 천부경과 주역의 해석에 의한 연관성을 주장한 것이 대부분이였으며 천부경의 구조 자체가 주역의 내용을 담고 있다는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많은 논문과 내용을 참고하지 못한 한계와 아쉬움은 있다. 천부경과 주역의 학문이 자신을 밝히고 세상을 밝혀 홍익인간 재세이화을 실현하는데 초석이 되기를 바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onsistency with the Juyeok(周易) through structural consideration of Cheonbukyeong(天符經) The subject of the study is the Cheonbukyeong, the Juyeok. The research method first analyzed the six, the center of Cheonbukyeong, and discussed that the structure of Cheonbukyeong was the Juyeok by explaining the process of forming an inner Gwae(內卦) by forming an inner Taegeuk(太極) from Mugeuk(無極), an upper Gwae(上卦) and a lower Gwae(下卦), which are Sibcheguyong(the form of 十 and the use of nine, 十體九用) make the Juyeok’s 64Gwae, and forming an outer Gwae(外卦) by the action of the five Hwanggeuk(皇極). Second, by comparing and examining the contents of the Juyeok’s Gyesajeon(繫辭傳), Dodeoggyeong(道德經), and Taegeukdoseol(太極圖說), it was confirmed that Cheonbukyeong and the Juyeok were complementary and consistent with each other. Third, by explaining the WonHyeongLiJeong(元亨利貞) of the Juyeok as the structure and principle of Cheonbukyeong, it was discussed that the Juyeok and Cheonbukyeong are the same reason and have the same structure.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that the structure of Cheonbukyeong exists three-dimensionally together with the Juyeok’s inner Gwae, upper Gwae, lower Gwae, and outer Gwae, and the Juyeok’s 64Gwae, that is, Cheonbukyeong and the Juyeok coincide with each other. I learned that the Juyeok is Cheonbukyeong and that Cheonbukyeong’s unspeakable words are in the Juyeok. Until now, most of the preceding papers have argued for the connection between Cheonbukyeong and the Juyeok’s interpretation, and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hat the structure of Cheonbukyeong itself contains the Juyeok’s content, so there are limitations and regrets that many papers and contents cannot be referenced. I hope that Cheonbukyeong and the Juyeok will be the cornerstone of realizing the establishment of the Hongikingan(弘益人間) and Jaeseyihwa(在世理化) by revealing themselves and revealing the world.

목차

1. 머리말
2. 천부경 십체구용(十體九用)과 내외괘(內外卦) 상하괘(上下卦) 주역 64괘형성
3. 천부경과 주역의 비교고찰
4. 천부경 구조로 살펴본 주역의 원형리정(元亨利貞)
5. 맺은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문경(Moon Kyung Jung). (2025).천부경(天符經)의 구조적 고찰을 통한 주역(周易)과의 일치성에 관한 연구. 인간과자연, 6 (1), 729-777

MLA

정문경(Moon Kyung Jung). "천부경(天符經)의 구조적 고찰을 통한 주역(周易)과의 일치성에 관한 연구." 인간과자연, 6.1(2025): 729-7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