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식적 토대론에서 ‘기초적 신념’을 둘러싼 논변과 남은 문제들
이용수 0
- 영문명
- Discussion and Remaining Issues Surrounding ‘basic beliefs’ in Epistemology
- 발행기관
- 한국인간과자연학회
- 저자명
- 홍병선(ByungSun Hong)
- 간행물 정보
- 『인간과자연』제6권 제1호, 323~34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기초적 신념은 정당화로부터 출발하는 믿음이다, 그러므로 그것은 기초적 신념에 대한 이유(reason)를 가지지 않고서도 기초적 신념을 유지함에 있어서 정당화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폴락( J. L. Pollock)이 제시했던 것은 전통적인 토대이론에서 언제나 고수해야만 한다는 확고한 수정불가능성를 유지하기 보다는 보다 완화된 안을 제시하고 있다. 그것이 곧 ‘일견정당화(prima facie justied)’라는 표현을 사용함으로써 적극적인 정당화에 반해 소극적 정당화를 내세우고 있는 새로운 방안이다. 이는 직접적인 지각에 의한 신념들은 오류가 가능하지만, 그것들이 바로 거짓이라고 하는 것을 뒷받침해주는 증거가 제시되기 전까지는 어떤 독립적인 확증이나 정당화 과정이 없이도 그것들 자체를 긍정하는 입장에서 참이라고 전제함으로써 자기-정당화된다고 한다, 그래서 폴락은 이러한 정당화 방식을 기술하기 위하여 일견에 정당화된다고 하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상식에 속하는 지각적 신념들은 통상 이와 같이 진리에 대한 내재적인 보증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은 곧 어떠한 감각적 상태와 그러한 상태에 관한 일인칭적인 보고 사이에 성립하는 인과적이고 법칙적인 관련이 있어 그러한 연관의 자기-지시적인 특성에 의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그러한 감각을 보고하는 상황이 가지는 특성에 의해 지각적 신념은 자기-보증적인 것이 된다는 생각을 바탕에 깔고 있다. 그는 곧 정당화되는 것과 참이 되는 것을 구분하고, 어떠한 감각경험이 어떤 것에 대한 신념을 완전하게 참이 되게 하지는 않지만, 그 신념을 참이라고 확신하는 것에 대하여 내재적인 보증을 제공해 준다는 점에 있어서 자기-보증적인 것이다.
영문 초록
A basic belief is a faith that starts from justification, and therefore it must be justifiable by maintaining the basic belief without having a reason for the basic belief. Thus, what J. L. Pollock presents is a more relaxed proposal than maintaining the firm incorrigibility that must always be adhered to in traditional foundation theories. It is a new proposal that immediately uses the expression ‘prima facie justified’ to set out negative justification as opposed to positive justification. This applies the method of self-justification by presuming that beliefs by direct perception are true in a position of affirmation of themselves, even without any independent confirmation or justification process, although they can be false. It can be said that perceptual beliefs belonging to common sense usually have an intrinsic guarantee of truth in this way. It is based on the idea that there is a causal and lawful association established between a sensory state and a first-person report on such a state, and that perceptual belief becomes self-guaranteed by such related self-directed properties or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tuation reporting such a feeling otherwise. He distinguishes immediately from being justified and true, and is self-guaranteed in that he does not completely authenticate his belief in having a certain sensory experience, but provides an inherent guarantee of conviction to be true.
목차
1. 들어가는 말
2. 토대론과 ‘기초적 신념’의 성격
3. 기초적 신념과 자기-정당화
4. 기초적 신념의 수정불가능성
5. 현상 믿음의 수정불가능성
6. 수정불가능성에 대한 반례와 폴락의 소극적 정당화
7. 나오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김영재 거문고 독주곡 “마무(馬舞)” 장단 및 리듬분석
- 앙리 듀티외(Henri Dutilleux)의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Sonatine pour Flute et Piano) 연주기법 고찰
- 한국 재즈 1세대 트럼펫 연주자 최선배의 음악 생애사
- 대니얼 디포의 『로빈슨 크루소』 - 크루소의 형이상학적 문제를 중심으로
- 김옥균 암살의 재구성 - 청국·일본과 서구 외교문서로 바라본 김옥균 암살과 배후
- 문화콘텐츠 캐릭터 개발을 위한 한국신화의 인물 연구 - “삼국유사” <처용랑망해사>의 ‘처용’을 중심으로
- 노서 윤선거의 금산 산천재(山泉齋) 강학과 학문적 교유
- 교양교육, 글쓰기교육, 그리고 철학교육 : W대학교의 ‘올바른’ 글쓰기 교육
- 지속 가능한 미래 교육을 위한 가상현실의 연구
- 애니메이션 <엘리멘탈 Elemental>을 활용한 창의성 향상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제안 -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 대규모 한국어 수업에서의 개별화 수업 및 피드백 전략 - 플립러닝과 LMS 활용을 중심으로
- 기녀사의 문학적 세련미: 주방언의 기녀 소재 염사(艶詞) 연구
-
디지털 상상 개념을 활용한 콘텐츠 수용 연구 - 뉴진스 앨범
뮤직비디오를 중심으로 - 「東南亞遠征紀」로 본 태권도의 최초 해외파견 활동
- 천부경(天符經)의 구조적 고찰을 통한 주역(周易)과의 일치성에 관한 연구
- 명말 청초 도선(逃禪)의 생존과 유민의 심로(心路) - 엽소원(葉紹袁)의 『갑행일주(甲行日注)』를 중심으로
- 성인피아노 학습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 피아노 학습 입문과정을 중심으로
- 개신교인의 용서(forgiveness)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와 기독교적 용서 제안
-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등 음악 교과서 ‘경복궁타령’ 장단 분석 연구
- 안숙선 가야금병창 연구 - 수궁가를 중심으로
- 한국 근현대(1900-2020) SF소설 및 SF영화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이를 기반으로 하는 SF콘텐츠 검색 프로그램 제작
- 김소월 시 「산유화」 해석의 쟁점과 자연의식 연구
- 화장품 평가를 위한 동물대체시험 종류와 현황에 관한 연구
- 인식적 토대론에서 ‘기초적 신념’을 둘러싼 논변과 남은 문제들
- AI를 활용한 맞춤형 대학음악교육 강화 방안
- 저출산 시대 속 기업의 ESG 경영
- 세종정부청사의 풍수지리 입지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Chat GPT의 원리, 활용, 한계와 업무효율화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김영재 거문고 독주곡 “마무(馬舞)” 장단 및 리듬분석
- 앙리 듀티외(Henri Dutilleux)의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Sonatine pour Flute et Piano) 연주기법 고찰
- 한국 재즈 1세대 트럼펫 연주자 최선배의 음악 생애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