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안숙선 가야금병창 연구 - 수궁가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Gayageum Byeongchang of An Sookseon : Focusing on the Sugungga
- 발행기관
- 한국인간과자연학회
- 저자명
- 김현정(Hyun Jung Kim)
- 간행물 정보
- 『인간과자연』제6권 제1호, 159~198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안숙선 명인의 가야금병창 예술적 가치를 재조명하고, 새롭게 편곡한 수궁가를 중심으로 그 음악적 특징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는 2014년
7월 14일 안숙선 가야금병창 보존회 기획 공연에서 연주된 수궁가를 대상으로 하여 <층암절벽>, <내 근본 들어라>, <부엉이 허허 웃고>, <원해수변>, <자네들 내 나이를 들어보소>, <달파총은 언제 났소>, <맷돗이 듣고 나온다> 총 7대목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사설 구성 분석, 선율 구조 분석, 노래선율과 가야금 반주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사설 구성 분석 결과, 안숙선은 정광수의 사설을 기본적으로 수용하면서도 일부 변화를 보였다. 가야금 전주 및 후주의 확장, 사설의 일부 생략 등이 그의 개인적인 해석을 반영한 예로, 극적 구성 능력을 활용하여 이야기의 생동감과 음악적 전달력을 강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선율 구조 분석 결과, 안숙선이 정광수의 선율 구조를 바탕으로 넓은 음역과 선율 변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음악적 표현의 다양성을 추구하며 창의적 해석과 즉흥성을 반영한 선율적 흐름을 보여주었다. 선율 유형 분석 결과, 다양한 선율 패턴을 통해 감정의 고조와 안정감을 조화롭게 드러내는 안숙선의 음악적 접근이 드러났다.
노래선율과 가야금 반주 상관관계 분석 결과, 동형 진행형, 주요음 반주형, 장단 보강형 등의 형태를 통해 두 요소 간의 긴밀한 결합과 음악적 조화를 이끌어내며 음악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이어갔다.
본 연구를 통해 안숙선 가야금병창의 예술적 가치는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창의적인 해석을 통해 독창적인 예술세계를 구축하는 데 기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예술적 성과는 후대 연주자들에게 중요한 학습 자료로 남을 것이며 본 연구가 안숙선 가야금병창의 예술적 가치와 전통의 중요성을 지속적으로 전달하고 새로운 해석과 발전을 위한 길잡이가 되길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examine the artistic value of master Ahn Sook-sun’s Gayageum Byeongchang and analyze its musical characteristics, focusing on the newly arranged Sugungga. The study was conducted on the Sugungga performed at the planned performance of the Gayageum Byeongchang Preservation Society of An Sookseon on July 14, 2014, and selected a total of seven items: “Layered Rock Cliff”, “Listen to My Fundamentals”, “Owl’s Smiling”, “Wonhae Waterside”, “When Did You Listen to My Age”, “Matt Dot Hear and Come Out”. This study focused on editorial composition analysis, melody structure analysi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song selection and Gayageum accompanim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composition of the editorial, Ahn Sook-seon basically accepted Jeong Kwang-soo’s editorial but showed some changes. The expansion of Gayageum Jeonju and Juju, and the partial omission of the editorial were examples of reflecting his personal interpreta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vitality and musical delivery of the story were reinforced by utilizing the dramatic composition abil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melody structure, Ahn Sook-sun actively utilized the wide range and melody change based on Jeong Kwang-soo’s melody structure to pursue diversity in musical expression and show a melodic flow reflecting creative interpretation and improvisation. As a result of the melody type analysis, Ahn Sook-sun’s musical approach, which harmoniously reveals the heightened emotion and a sense of stability through various melody patterns, was reveal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song melody and gayageum accompaniment, the flow of music was naturally continued by drawing close association and musical harmony between the two elements through homogeneous progressive, major sound accompaniment, and rhythm reinforcement.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artistic value of An Sook-seon's Gayageum Byeongchang contributed to the construction of an original art world through creative interpretation while inheriting tradition. These artistic achievements will remain important learning materials for future performers, and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continue to convey the artistic value and the importance of tradition of An Sook-seon’s Gayageum Byeongchang and serve as a guide for new interpretation and development.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사설 구성 분석
3. 선율 구조 분석
4. 노래선율과 가야금 반주 상관관계
5. 나가는 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김영재 거문고 독주곡 “마무(馬舞)” 장단 및 리듬분석
- 앙리 듀티외(Henri Dutilleux)의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Sonatine pour Flute et Piano) 연주기법 고찰
- 한국 재즈 1세대 트럼펫 연주자 최선배의 음악 생애사
- 대니얼 디포의 『로빈슨 크루소』 - 크루소의 형이상학적 문제를 중심으로
- 김옥균 암살의 재구성 - 청국·일본과 서구 외교문서로 바라본 김옥균 암살과 배후
- 문화콘텐츠 캐릭터 개발을 위한 한국신화의 인물 연구 - “삼국유사” <처용랑망해사>의 ‘처용’을 중심으로
- 노서 윤선거의 금산 산천재(山泉齋) 강학과 학문적 교유
- 교양교육, 글쓰기교육, 그리고 철학교육 : W대학교의 ‘올바른’ 글쓰기 교육
- 지속 가능한 미래 교육을 위한 가상현실의 연구
- 애니메이션 <엘리멘탈 Elemental>을 활용한 창의성 향상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제안 -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 대규모 한국어 수업에서의 개별화 수업 및 피드백 전략 - 플립러닝과 LMS 활용을 중심으로
- 기녀사의 문학적 세련미: 주방언의 기녀 소재 염사(艶詞) 연구
-
디지털 상상 개념을 활용한 콘텐츠 수용 연구 - 뉴진스 앨범
뮤직비디오를 중심으로 - 「東南亞遠征紀」로 본 태권도의 최초 해외파견 활동
- 천부경(天符經)의 구조적 고찰을 통한 주역(周易)과의 일치성에 관한 연구
- 명말 청초 도선(逃禪)의 생존과 유민의 심로(心路) - 엽소원(葉紹袁)의 『갑행일주(甲行日注)』를 중심으로
- 성인피아노 학습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 피아노 학습 입문과정을 중심으로
- 개신교인의 용서(forgiveness)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와 기독교적 용서 제안
-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등 음악 교과서 ‘경복궁타령’ 장단 분석 연구
- 안숙선 가야금병창 연구 - 수궁가를 중심으로
- 한국 근현대(1900-2020) SF소설 및 SF영화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이를 기반으로 하는 SF콘텐츠 검색 프로그램 제작
- 김소월 시 「산유화」 해석의 쟁점과 자연의식 연구
- 화장품 평가를 위한 동물대체시험 종류와 현황에 관한 연구
- 인식적 토대론에서 ‘기초적 신념’을 둘러싼 논변과 남은 문제들
- AI를 활용한 맞춤형 대학음악교육 강화 방안
- 저출산 시대 속 기업의 ESG 경영
- 세종정부청사의 풍수지리 입지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Chat GPT의 원리, 활용, 한계와 업무효율화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김영재 거문고 독주곡 “마무(馬舞)” 장단 및 리듬분석
- 앙리 듀티외(Henri Dutilleux)의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Sonatine pour Flute et Piano) 연주기법 고찰
- 한국 재즈 1세대 트럼펫 연주자 최선배의 음악 생애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