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화콘텐츠 캐릭터 개발을 위한 한국신화의 인물 연구 - “삼국유사” <처용랑망해사>의 ‘처용’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characters from Korean mythology for developing cultural content characters : Focusing on ‘Cheoyong’ in “Samguk Yusa”
발행기관
한국인간과자연학회
저자명
변지선(Jisun Byun)
간행물 정보
『인간과자연』제6권 제1호, 349~362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문화콘텐츠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한국신화의 캐릭터 원형을 고찰했다. 이를 위해 “삼국유사”에 수록된 <처용랑망해사>의 구성을 분석했다. <처용랑망해사>는 ‘처용이야기’와 ‘토착신이야기’로 구성되었다. 이 이야기들은 처용은 전염병의 신과 신라인과의 소통에 성공했으며 토착신은 신라인과의 소통에 실패했음을 보여주었다. 아울러 <처용랑망해사>에 등장하는 ‘처용’의 양상과 의미를 탐색했다. ‘처용’은 <처용랑망해사>에서 ‘날씨를 관장하는 능력’, ‘춤과 노래’, ‘이주와 적응력’, ‘중앙귀족으로의 편입’, ‘신을 보는 능력’, ‘신과 소통하는 능력’, ‘전염병을 막는 능력’, ‘새로운 수호신’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archetypes of characters from Korean mythology that can be used i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 For this purpose, the composition of included in “SamgukYusa” was analyzed. consists of ‘Cheoyong’s Story’ and ‘Indigenous God’s Story’. These stories showed that Cheoyong succeeded in communicating with the God of epidemics and Silla people, while the indigenous god failed to communicate with Silla people. In addition, the aspects and meaning of ‘Cheoyong’ that appears in were explored. In , ‘Cheoyong’ appears as ‘the ability to control the weather’, ‘dance and song’, ‘migration and adaptability’, ‘incorporation into the central nobility’, ‘the ability to see God’, ‘the ability to communicate with God’, ‘the ability to prevent infectious diseases’, and ‘a new guardian God’.

목차

1. 서론
2. <처용랑망해사>의 구성
3. ‘처용’의 양상과 캐릭터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변지선(Jisun Byun). (2025).문화콘텐츠 캐릭터 개발을 위한 한국신화의 인물 연구 - “삼국유사” <처용랑망해사>의 ‘처용’을 중심으로. 인간과자연, 6 (1), 349-362

MLA

변지선(Jisun Byun). "문화콘텐츠 캐릭터 개발을 위한 한국신화의 인물 연구 - “삼국유사” <처용랑망해사>의 ‘처용’을 중심으로." 인간과자연, 6.1(2025): 349-3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