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지털 상상 개념을 활용한 콘텐츠 수용 연구 - 뉴진스 앨범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Content Reception Utilizing the Concept of Digital Imagination: Focusing on the Music Video of NewJeans’ album
- 발행기관
- 한국인간과자연학회
- 저자명
- 장현석(Hyunsuk Jang) 유미(Mi Yoo) 박정배(Jeongbae Park)
- 간행물 정보
- 『인간과자연』제6권 제1호, 625~661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디지털 콘텐츠의 수용 과정을 관객이 경험하는 상상을 중심으로 해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바바의 혼종적 공간과 들뢰즈의 시간-이미지, 플루서의 기술적 이미지 등의 이론적 개념을 활용하여 디지털 상상 개념을 새롭게 제시하고, 관객의 상상 경험을 세 가지 틀- 공간과 시간, 장치-작동자의 관점-을 통해 구체적으로 들여다본다. 이를 위해, K팝 아이돌 그룹 뉴진스가 2023년에 발매한 앨범 에 수록된 세 곡, ‘Super Shy’, ‘ETA’, ‘Cool with You’의 뮤직비디오 관객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관객은 헤테로토피아적 공간과 순수한 시청각적 이미지를 통해, 현실과 비현실의 공존과 현재성의 출현, 사라지는 주체를 경험하였다. 또한, 관객은 디지털 공간에서 뉴진스와 ‘상호주관적인’ 관계를 형성하면서, 새로운 가능성의 세계로 진입하였다. 본 연구는 관객의 콘텐츠 수용 양상을 해명하는 데 디지털 상상 개념을 제안하고, 그 과정을 개념화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elucidate the process of audience reception of digital content, with a focus on the imagination experienced by spectators. It introduces a novel concept of digital imagination by utilizing theoretical concepts such as Bhabha’s hybridity, Deleuze’s time-image, and Flusser’s technical imagination. The study examines the audience’s imaginative experience through three frameworks: space and time, apparatus, and the perspective of the person and apparatus. To achieve this, the paper conducts in-depth interviews with music video spectators, paying attention to the strategies employed by the K-pop idol group NewJeans in their album , released in 2023, particularly in songs like ‘Super Shy’, ‘ETA’, and ‘Cool with You’, to stimulate fans’ imagination in the digital space. The research reveals that spectators experienced different spaces and layered temporality through heterotopia spaces and pure visual images. Additionally, audiences, within the unfamiliar yet familiar world presented by digital images, were seen to construct a ‘present’-centered, ‘inter-subjective’ relationship with the worl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proposing the concept of digital imagination to elucidate patterns of audience content reception and conceptualizing this proces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김영재 거문고 독주곡 “마무(馬舞)” 장단 및 리듬분석
- 앙리 듀티외(Henri Dutilleux)의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Sonatine pour Flute et Piano) 연주기법 고찰
- 한국 재즈 1세대 트럼펫 연주자 최선배의 음악 생애사
- 대니얼 디포의 『로빈슨 크루소』 - 크루소의 형이상학적 문제를 중심으로
- 김옥균 암살의 재구성 - 청국·일본과 서구 외교문서로 바라본 김옥균 암살과 배후
- 문화콘텐츠 캐릭터 개발을 위한 한국신화의 인물 연구 - “삼국유사” <처용랑망해사>의 ‘처용’을 중심으로
- 노서 윤선거의 금산 산천재(山泉齋) 강학과 학문적 교유
- 교양교육, 글쓰기교육, 그리고 철학교육 : W대학교의 ‘올바른’ 글쓰기 교육
- 지속 가능한 미래 교육을 위한 가상현실의 연구
- 애니메이션 <엘리멘탈 Elemental>을 활용한 창의성 향상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제안 -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 대규모 한국어 수업에서의 개별화 수업 및 피드백 전략 - 플립러닝과 LMS 활용을 중심으로
- 기녀사의 문학적 세련미: 주방언의 기녀 소재 염사(艶詞) 연구
-
디지털 상상 개념을 활용한 콘텐츠 수용 연구 - 뉴진스 앨범
뮤직비디오를 중심으로 - 「東南亞遠征紀」로 본 태권도의 최초 해외파견 활동
- 천부경(天符經)의 구조적 고찰을 통한 주역(周易)과의 일치성에 관한 연구
- 명말 청초 도선(逃禪)의 생존과 유민의 심로(心路) - 엽소원(葉紹袁)의 『갑행일주(甲行日注)』를 중심으로
- 성인피아노 학습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 피아노 학습 입문과정을 중심으로
- 개신교인의 용서(forgiveness)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와 기독교적 용서 제안
-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등 음악 교과서 ‘경복궁타령’ 장단 분석 연구
- 안숙선 가야금병창 연구 - 수궁가를 중심으로
- 한국 근현대(1900-2020) SF소설 및 SF영화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이를 기반으로 하는 SF콘텐츠 검색 프로그램 제작
- 김소월 시 「산유화」 해석의 쟁점과 자연의식 연구
- 화장품 평가를 위한 동물대체시험 종류와 현황에 관한 연구
- 인식적 토대론에서 ‘기초적 신념’을 둘러싼 논변과 남은 문제들
- AI를 활용한 맞춤형 대학음악교육 강화 방안
- 저출산 시대 속 기업의 ESG 경영
- 세종정부청사의 풍수지리 입지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Chat GPT의 원리, 활용, 한계와 업무효율화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김영재 거문고 독주곡 “마무(馬舞)” 장단 및 리듬분석
- 앙리 듀티외(Henri Dutilleux)의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Sonatine pour Flute et Piano) 연주기법 고찰
- 한국 재즈 1세대 트럼펫 연주자 최선배의 음악 생애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