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애니메이션 <엘리멘탈 Elemental>을 활용한 창의성 향상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제안 -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이용수 0

영문명
Development and Proposal of Creativity Enhancement Education Program utilizing the animation : focusing on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발행기관
한국인간과자연학회
저자명
김주현(Joohyun Kim)
간행물 정보
『인간과자연』제6권 제1호, 471~527쪽, 전체 57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9,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창의성 향상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학교 고학년생들의 창의성을 증진하는 데 목표를 두고 진행되었다. 연구 과정에서는 그레이엄 월러스의 창의성 인지 과정 모형을 기반으로 교육과정을 준비, 부화, 조명, 검증 단계로 세분화하여 개발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의 창의성 요소를 평가하기 위해 토렌스가 제안한 유연성, 독창성, 정교성, 유창성 등을 고려하여 가중치를 두었고, 이를 통해 균형 있는 평가를 위한 민감성, 적합성, 그리고 가능성이라는 측면도 함께 고려하여 평가 지표를 구성할 수 있었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엘리멘탈>의 캐릭터, 공간, 외적 요소 분석 및 확장 등 세가지 핵심분야의 교육과정에서 단계별로 창의적 요소를 검증한 결과, 모든 분야와 단계에서 적절한 창의성 요소가 적용되었다. 또한, 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창의성 요소의 적용이 점차 증가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는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창의성 향상 교육 프로그램이 효과적임을 유추할 수 있지만, 실제 환경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보다 확실하게 확인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연구를 통해 애니메이션 <엘리멘탈>을 활용한 창의성 향상 교육 프로그램이 더 활용도 높고 효과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utilizing animationto enhance creativity, targeting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Graham Wallas’ model of the creative process, the research process was divided into preparation, incubation, illumination, and verification stages to develop the curriculum. Additionally, in evaluating the creativity elements of the program, weights were assigned considering flexibility, originality, elaboration, and fluency as proposed by Torrance, thus allowing for a balanced assessment by considering sensitivity, suitability, and feasibility as well. The developed program, focusing on three core areas: characters, spaces, and external elements analysis and expansion, verified creative elements at each stage. Suitable creative elements were found to be applied in all areas and stages. Moreover, a pattern emerged indicating an increasing application of creative elements as the stages progressed. However, while theoretically, the study suggests the effectiveness of an educational program for enhancing creativity using animation, there is a need for further confirmation of its applicability in real-world settings. Therefore, future research is expected to provide more evidence on the ut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creativity enhancement educational program utilizing the animation .

목차

1. 서론
2. 애니메이션을 통한 창의성 교육의 이론적 배경과 교육적 가치
3. <엘리멘탈>의 창의성 향상 교육 프로그램 개발 과정
4. 연구 결과: <엘리멘탈>을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의 창의성 요소 검증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주현(Joohyun Kim). (2025).애니메이션 <엘리멘탈 Elemental>을 활용한 창의성 향상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제안 -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인간과자연, 6 (1), 471-527

MLA

김주현(Joohyun Kim). "애니메이션 <엘리멘탈 Elemental>을 활용한 창의성 향상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제안 -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인간과자연, 6.1(2025): 471-5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