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언론권력에 관한 언론담론 분석 : 김영삼 정부에서 노무현 정부까지 신문사설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Journalistic discourse on the media power
발행기관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이정훈(Junghoon Lee)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제25권 제4호, 423~469쪽, 전체 4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1.30
8,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언론권력에 대해 언론이 어떻게 인식하고 가치를 부여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김영삼 정부에서 노무현 정부까지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의 언론권력과 관련된 사설을 분석하였다. 언론권력 담론은 개혁담론의 일환으로 김영삼 정부 시기 한겨레에 의해 주도적으로 제기되기 시작했다. 김대중 정부 시기에 진보언론은 보수언론이 군사정권하에서 축적한 거대자본을 토대로 여론시장을 독과점함으로써 권력이 되었다고 비판했다. 특히, ‘족벌’사주와 ‘족벌’신문이 주요 비판의 대상이었다. 반면, 보수언론은 스스로를 비판언론으로 규정하면서 자신들이 ‘언론권력’이라는 정부와 진보언론의 공세가 비판언론에 대한 탄압이라고 맞섰다. 보수언론은 그저 권력을 감시하고 비판했을 뿐이며, 정부와 진보언론의 언론권력 담론은 그런 비판언론에 대한 탄압일 뿐이라는 것이다. 노무현 정부 들어 진보언론의 담론지형에는 이전과 비교해서 큰 변화는 없었다. 여전히 진보언론의 문제제기와 보수언론의 대응이라는 구도가 유지되었다. 그러나 김영삼, 김대중 정부 시기에 진보언론의 담론공세에 수세적인 자세를 보였던 보수언론이 노무현 정부 들어서는 훨씬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태도로 바뀌었다. 보수언론은 자신들은 ‘언론권력’이 아니라고 부정하는 소극적 태도를 벗어나 권언유착의 당사자는 오히려 현 정부와 진보언론이라며 적극적으로 비판했다. 특히, 진보적 시민단체를 가짜 시민단체로 규정하면서 진정으로 개혁이 필요한 곳은 새롭게 권력으로 부상한 시민단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특히, 언론개혁을 주창하는 시민단체들이 주요 비판 대상이었다. 언론권력 담론의 역사적 분석을 통해 한국언론 특유의 정파성 문제를 이해할 수 있는 단초를 발견할 수 있었다. 언론권력 담론투쟁 과정을 통해 진보언론과 보수언론은 스르로에 대한 집단 정체성을 형성해 나가면서 대립구도를 강화시켜 나갔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nalyzed newspaper’s editorial related to media power of the Kyunghyang Shinmun, the Dong-A Ilbo, the Chosun Ilbo, the JoongAng Ilbo, and the Hankyoreh from the Kim Young-sam administration to the Roh Moo Hyun administration to examine how the media perceives and places value on media power. The discourse on media power began to be proactively raised by the Hankyoreh during the Kim Young-sam administration as part of the reform discourse. During the Kim Dae Jung administration, the progressive media criticized the conservative media for gaining power by monopolizing the public opinion market based on the huge capital accumulated under the military regime. On the other hand, the conservative media defined itself as a critical media and countered that the offensive of the government and the progressive media was oppression of the critical media. In the Roh Moo Hyun administration, the discourse of the progressive media has not chang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previous one. However, the discourse of the conservative media, which was defensive in the previous administration, changed more actively and aggressively under the Roh Moo Hyun administration. Breaking away from the passive attitude that it is not power, the conservative media actively criticized the current government and the progressive media a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al and media. In particular, defining progressive civic organization as fake civic organization, conservative media strongly criticized that the places that truly need reform are civic groups that have emerged as power. Through historical analysis of the discourse of media power, it was possible to find the basis for understanding the partisanship unique to Korean media. Through the process of discourse struggle for media power, the progressive media and the conservative media strengthened the confrontational structure by forming a collective identity.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정훈(Junghoon Lee). (2024).언론권력에 관한 언론담론 분석 : 김영삼 정부에서 노무현 정부까지 신문사설을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25 (4), 423-469

MLA

이정훈(Junghoon Lee). "언론권력에 관한 언론담론 분석 : 김영삼 정부에서 노무현 정부까지 신문사설을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25.4(2024): 423-4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