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주절에 대한 연체절의 시간적 의미에 따른 한일어 대응 관계 연구
이용수 32
- 영문명
- A Study on the Correspondence between Korean and Japanese Adnominal Clauses and Main Clauses Based on Temporal Relations
- 발행기관
-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민은진(Eunjin Min) 손동주(Dongju Son)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제25권 제4호, 251~28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문장을 구성할 때는 반드시 주어와 서술어가 필요한데, 단문의 경우 그 구성 요소가 한 개인 데 반해, 복문은 두 개 이상이 결합한다. 본고에서는 복문 중에서도 한 문장이 다른 문장의 구성 성분이 되는 연체절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연체절의 경우, 복문의 특성상 두 개 이상의 서술어가 상호 관계를 맺게 되고, 이때 두 서술어의 시간적인 관계가 시제와 상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런 시제와 상은 한일어의 대응 관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본고는 주절에 대한 연체절의 시간적인 의미를 고찰하여 한일어 대응 관계를 명확히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체절 관련 예문을 현대 일본어 소설에서 추출하여 연체절과 주절의 시간적인 관계가 한일어 대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각 용법마다 어떤 동사에 접속하는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연체절이 「ル」형인 경우, 연체절과 주절의 사건이 동 시간대에 나타나는 동일장면(同一場面)일 때는 상대시제 ‘현재’로서 <동시>를 의미하며, 「는, 던」에 대응하고, 「는」은 다양한 동사에, 「던」은 존재동사에 주로 접속하였다. 두 사건 간에 시간차가 있는 이장면(異場面)일 때는 상대시제 ‘미래’로서 <후속>을 의미하며, 「을/ㄹ, 는」에 대응하고, 「을/ㄹ」은 다양한 동사에, 「는」은 주체변화동사에 주로 접속하였다.
연체절이 「タ」형인 경우, 상대시제 ‘과거’로서 이장면일 때는 <선행>을 의미하며, 「은/ㄴ, 던」에 대응하고, 「은/ㄴ」은 다양한 동사에, 「던」은 주체동작동사 및 내적정태동사에 접속하였다. 그러나 상대시제 ‘현재’로서 동일장면일 때는 <동시>를 의미하며, 「은/ㄴ, 던」에 대응하고, 「은/ㄴ」은 주로 주체변화동사에, 「던」은 존재동사에 접속하였다.
연체절이 「テイル」형인 경우에는 주절과 동일장면에 해당하고, 상대시제 ‘현재’로서 <동시>를 의미하며 「는, 은/ㄴ, 던, 고 있는, 아/어 있는」에 대응하였다. 「는」은 주체동작동사 및 내적정태동사에, 「은/ㄴ」은 주체변화동사에, 「던」은 주체동작동사에, 「고 있는」은 다양한 동사에, 「아/어 있는」은 주체변화동사에 접속하였다.
연체절이 「テイタ」형인 경우에는 모두 「던」에 대응하고, 연체절과 주절이 이장면일 때는 <선행>을, 동일장면일 때는 <선행 중단>을 의미하였다. <선행, 선행 중단>은 상대시제 ‘과거’를 나타내지만, <동시>는 상대시제 ‘현재’를 나타내고, <선행>은 다양한 동사에, <선행 중단>은 주체동작동사에, <동시>는 주로 주체변화동사 및 내적정태동사에 접속하였다.
영문 초록
When constructing sentences, a subject and predicate are essential. While a simple sentence consists of only one element, a complex sentence combines two or more elements. This paper focuses on the adnominal clauses, where one sentence becomes a component of another sentence. In adnominal clauses, the predicates of two or more sentences are interrelated due to the nature of complex sentences, and the temporal relationship between these predicates forms tense and aspect. These tenses and aspects also affect the correspondence between Korean and Japanese, so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nominal clause and the main clause's temporal relations in order to establish the Korean-Japanese correspondence. Examples of adnominal clauses were extracted from modern Japanese novels to examine how the temporal relationship between the adnominal clause and the main clause affects Korean-Japanese correspondence, and to determine which verbs are connected to them. As a result, when the adnominal clause is in the 「ル」 form, if the events in the adnominal clause and the main clause occur simultaneously (same scene), it implies as a relative present tense and corresponds to 「는」 or 「던」 in Korean. Here, 「는」 connects to various verbs, while 「던」 primarily connects to existential verbs. When there is a time gap between the two events (different scene), it implies as a relative future tense and corresponds to 「을/ㄹ」 or 「는」 in Korean, where 「을/ㄹ」 connects to various verbs and 「는」 primarily connects to subject-change verbs. When the adnominal clause is in the 「タ」 form, in the case of a different scene with a relative past tense, it implies and corresponds to 「은/ㄴ」 or 「던」 in Korean, where 「은/ㄴ」 connects to various verbs and 「던」 connects to subject-action verbs or internal stative verbs. In the case of the same scene with a relative present tense, it implies and corresponds to 「은/ㄴ」 or 「던」 in Korean, where 「은/ㄴ」 primarily connects to subject-change verbs, and 「던」 connects to existential verbs. When the adnominal clause is in the 「テイル」 form, it corresponds to the same scene with a relative present tense, implying and corresponds to 「는」, 「은/ㄴ」, 「던」, 「고 있는」, or 「아/어 있는」 in Korean. Here, 「는」 connects to subject-action verbs or internal stative verbs, 「은/ㄴ」 connects to subject-change verbs, 「던」 connects to subject-action verbs, 「고 있는」 connects to various verbs, and 「아/어 있는」 primarily connects to subject-change verbs. When the adnominal clause is in the 「テイタ」 form, it always corresponds to 「던」 in Korean. In the case of different scenes, it implies , while in the same scene, it implies . While and represent relative past tense, represents relative present tense. connects to various verbs, connects to subject-action verbs, primarily connects to subject-change verbs or internal stative verb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Ⅲ. 주절에 대한 연체절의 시간적 의미에 따른 대응 관계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도시 관련 諸문제들에 대한 일고찰 - 열 가지의 생각거리를 중심으로
- 민관협력을 통한 항만 도시재생, 요코하마 미나토미라이21
- 비트겐슈타인과 자아
- 동진 시기 사문예경논쟁을 통해 본 봉불사대부의 불교 인식
- 해서체 이체자에 나타난 『說文解字』 籒文의 영향
- 從「無题」詩淺探李商隐詩詞彙運用現象
- 19세기 중국 『海國圖志』와 일본『米歐回覽實記』에 수록된 외국 지명 음역 성모 비교 연구
- 14세기 위기, 개경의 再建과 後園 활용
- 주절에 대한 연체절의 시간적 의미에 따른 한일어 대응 관계 연구
- 『聚分韻略』 제본에 걸친 류(流)섭운의 자음형(字音形)에 대하여
- 북한이탈주민 1인 논평 유튜브 채널에 나타난 비언어 의사소통 연구 - <정성산TV>를 중심으로
- 스마트시티의 진화, 디지털 공간과 물리적 공간의 공진화 - 부산광역시 스마트시티 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 한미일 안보협력의 역동성 분석 및 전망 : 2008~2016년 사례 중심으로
- 튀니지에서 프랑스어권 아프리카 ‘이주·난민’의 혐오 현상에 대한 고찰
- 사회연결망의 크기와 강도 집단유형에 따른 개인 정서의 차이: 잠재 프로파일 분석의 활용
- 부산에 대한 국내 뉴스 보도의 프레임 연구 : 부산 국제화에 대한 시사점
- 언론권력에 관한 언론담론 분석 : 김영삼 정부에서 노무현 정부까지 신문사설을 중심으로
- 메가시티 학술담론의 형성과 구조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의과대학생의 동료평가 경험 분석
- 다문화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국가정체성의 관계: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의 적용
-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보육실습에서의 수업 실연 경험 연구
- 유아 교사의 소진과 이직 의도에 미치는 잡 크래프팅의 상대적 영향력
- 군 복무를 경험한 학생들의 대학 생활 태도 변화와 요인 탐색
- [서평] 칼 폴라니의 위대한 귀환: 『거대한 전환』의 실재성과 필요성을 중심으로
- 대학생의 그릿, 성공에 대한 기대, 실패내성의 관계에서 과제 가치의 조절된 매개효과
- 공유리더십, 내용적 경력정체, ISA몰입, 지식공유, 적응수행 간 구조적 관계 : 직무요구-자원 모델의 대처, 완충효과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부정적 자동적 사고 및 우울감 감소를 위한 인지행동 독서치료 프로그램 효과 연구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