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스마트시티의 진화, 디지털 공간과 물리적 공간의 공진화 - 부산광역시 스마트시티 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volution of smart cities, the co-evolution of digital and physical spaces : Focusing on the cases of smart city policy in Busan Metropolitan City
- 발행기관
-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김병기(Byounggi Kim)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제25권 제4호, 315~352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종합 플랫폼’이라 할 수 있는 스마트시티에는 어떤 이론적 근거와 논리가 작동하고 있는지를 규명하여 향후 어떻게 진화해 나갈 것인지를 살펴보기 위해, 부산시가 현재 추진 중인 ‘국가지정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와 ‘초소형 위성(Busan Sat) 프로젝트’ 등 다수의 스마트시티 정책 사례를 STIM 모델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이 시민들과 도시 정책입안자들에게 어떤 실익과 효용이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즉, 스마트시티의 개념 구성요소를 Service/Technology/Infra/ Management의 4가지로 나누어서 분석해 봄으로써, 스마트시티의 실체와 작동 원리를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하고, 이를 기반으로 시민 수요에 대응하는 맞춤형 서비스를 무궁무진하게 창조해 냄으로서 많은 도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CCTV 등 각종 센서를 통해서 수집된 정보를 초고속 통신망을 통해서 도시정부의 개방형 IoT 플랫폼으로 보내고, 이를 인공지능으로 분석함으로써 많은 도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최근에는 초소형 위성과 같은 고도로 발달된 센서와 인공지능·사물인터넷 기술 발달이 가져온 디지털 공간의 혁신은 일·생활·여가 활동이 동시에 가능한 ‘도시형 혁신공간(Innovation District)’과 맞물려 발전(공진화)하면서, ‘데이터 기반 스마트시티(Data-driven Smart City)’는 시민 맞춤형 서비스 제공과 함께 지역의 데이터 산업 생태계 조성에 기여함으로써, 디지털 전환 시대의 핵심 ‘지역혁신 수단’이 될 수 있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이론적 분석틀로도 제시하였는데, 기존의 STIM 이론 모형에 ‘공진화(물리적 공간 요소와 디지털 공간 요소의 서로 맞물린 변증법적 발전)’의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정책적·실천적 효용 이외에도 이론적 기여도 하였다. 즉, 수정된 이론 모형이자 분석틀인 “공진화에 기반한 통합 STIM 모형(Integrated STIM Framework based on Coevolution)”은, STIM의 각 요소별 ‘핵심 대표 개념’를 추출하여 누구나 쉽게 스마트시티 사례를 이해 할 수 있게 하였고, 시간에 따라 스마트시티가 어떻게 발전해 나갈 것인지를 예측할 수 있는 동태 모형도 함께 제시함으로써, 후속 연구가 촉발될 수 있는 여지도 남겼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a number of smart city policy cases, including the State-designated Eco Delta Smart City and the Busan Sat Project, were analyzed based on the STIM model to find out what theoretical basis and logic are working in the smart city, which can be called the “comprehensive platform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was intended to provide the practical benefits and utility of this analysis to citizens and urban policymakers. In other words, by analyzing the conceptual components of smart cities into four categories: Service/Technology/Infrastructure/ Management, it has been shown that many urban problems can be solved by making it easier to understand the reality and operation principle of smart cities and creating customized services to meet civic demand. In particular, it has been shown that many urban problems can be solved by sending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various sensors such as CCTV to the city government's open IoT platform through high-speed internet networks and analyzing it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In recent years, the innovation of the digital space brought about by the development of highly developed sensors such as micro satellite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nternet of Things technology has co-evolved in conjunction with the “Innovation District,” which enables work, life, and leisure activities at the same time, and “Data-driven Smart City” has drawn policy implications that it can be a key “regional innovation tool”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by contributing to the creation of a local data industry ecosystem along with providing customized services for citizens. This was presented as a theoretical analysis framework, and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co-evolution (dialectical development in which physical and digital space elements interlock)” into the existing STIM theory model, it contributed theoretically in addition to policy and practical utility. In other words, the modified theoretical model and analysis framework, “Integrated STIM Framework based on Co-evolution,” extracted the “core representative concept” of each element of STIM so that anyone could easily understand the smart city case, and presented a dynamic model that could predict how smart cities will develop over time, leaving room for further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디지털 공간과 물리적 공간의 공진화 수단으로서 스마트시티 정책 사례 분석
Ⅳ. 결론과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민관협력을 통한 항만 도시재생, 요코하마 미나토미라이21
- 비트겐슈타인과 자아
- 동진 시기 사문예경논쟁을 통해 본 봉불사대부의 불교 인식
- 14세기 위기, 개경의 再建과 後園 활용
- 19세기 중국 『海國圖志』와 일본『米歐回覽實記』에 수록된 외국 지명 음역 성모 비교 연구
- 주절에 대한 연체절의 시간적 의미에 따른 한일어 대응 관계 연구
- 한미일 안보협력의 역동성 분석 및 전망 : 2008~2016년 사례 중심으로
- 스마트시티의 진화, 디지털 공간과 물리적 공간의 공진화 - 부산광역시 스마트시티 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 북한이탈주민 1인 논평 유튜브 채널에 나타난 비언어 의사소통 연구 - <정성산TV>를 중심으로
- 사회연결망의 크기와 강도 집단유형에 따른 개인 정서의 차이: 잠재 프로파일 분석의 활용
- 부산에 대한 국내 뉴스 보도의 프레임 연구 : 부산 국제화에 대한 시사점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의과대학생의 동료평가 경험 분석
- 공유리더십, 내용적 경력정체, ISA몰입, 지식공유, 적응수행 간 구조적 관계 : 직무요구-자원 모델의 대처, 완충효과를 중심으로
- [서평] 칼 폴라니의 위대한 귀환: 『거대한 전환』의 실재성과 필요성을 중심으로
- 도시 관련 諸문제들에 대한 일고찰 - 열 가지의 생각거리를 중심으로
- 從「無题」詩淺探李商隐詩詞彙運用現象
- 해서체 이체자에 나타난 『說文解字』 籒文의 영향
- 『聚分韻略』 제본에 걸친 류(流)섭운의 자음형(字音形)에 대하여
- 언론권력에 관한 언론담론 분석 : 김영삼 정부에서 노무현 정부까지 신문사설을 중심으로
- 청소년의 부정적 자동적 사고 및 우울감 감소를 위한 인지행동 독서치료 프로그램 효과 연구
- 튀니지에서 프랑스어권 아프리카 ‘이주·난민’의 혐오 현상에 대한 고찰
- 메가시티 학술담론의 형성과 구조
- 다문화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국가정체성의 관계: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의 적용
- 대학생의 그릿, 성공에 대한 기대, 실패내성의 관계에서 과제 가치의 조절된 매개효과
-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보육실습에서의 수업 실연 경험 연구
- 유아 교사의 소진과 이직 의도에 미치는 잡 크래프팅의 상대적 영향력
- 군 복무를 경험한 학생들의 대학 생활 태도 변화와 요인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다문화가정 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성취도 격차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