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민관협력을 통한 항만 도시재생, 요코하마 미나토미라이21
이용수 62
- 영문명
- Urban Regeneration of Port Areas through Public-Private Partnerships: Yokohama Minato Mirai 21
- 발행기관
-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공미희(Mihee Kong)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제25권 제4호, 1~3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요코하마 항구를 재개발해 도시재생으로 성공한 일본 요코하마 미나토미라이21을 중심으로, 민관(民官)협력을 통한 도시재생의 과정과 효과에 대해서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이 지역의 성공 요인을 분석하여 주요 쟁점으로 거론되는 부산 북항 재개발 사업에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미나토미라이21 프로젝트는 요코하마시를 중심으로 공공과 민간이 협력하여 추진된 대규모 도시개발 사업이다. 이 프로젝트는 물리적 재생을 기반으로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재생을 포괄하는 종합적인 도시재생 사업이다. 요코하마시는 프로젝트의 기획 단계부터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토지 확보, 기반 시설 정비 등 공공부문의 역할을 수행했고, 미나토미라이21 주식회사는 실질적인 사업 시행을 담당하여 토지 매각, 건물 임대 등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재투자를 이어갔다. 미나토미라이21 가구(街區)개발에 따른 다채로운 도시재생은 크게 중앙지구(中央地区), 신항지구(新港地区), 요코하마역 동쪽 출구 지구(横浜駅東口地区)로 분류된다. 이 지역에 도시재생 사업이 성공한 요인을 크게 2가지로 분류해서 분석했다. 첫째, 장기적인 계획 하에 단계별 추진 전략을 세워 도시의 미래 모습을 구체적으로 그려냈다. 둘째, 정부, 민간 기업, 시민 사회 등 다양한 주체가 긴밀하게 협력해 민관협력 체계가 구축되었고 또 시민들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해 민간이 적극적으로 프로젝트에 참여한 사례에 대해서 분석했다. 즉 미나토미라이21은 다양한 문화 예술 공간을 조성하고 전시, 공연, 이벤트 등을 개최하여 지역 주민과 관광객에게 문화 예술 체험 기회를 제공하여 도시의 문화적 다양성을 높이고 창조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성공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미나토미라이21 프로젝트가 부산 북항 재개발에의 시사점으로 크게 6가지로 분류해서 분석했다. 장기적인 로드맵 수립 및 탄탄한 청사진 마련, 민관협력 체계 구축 및 민간의 적극적인 프로젝트 참여, 민관협력을 통한 지속적인 콘텐츠 개발 및 마케팅 강화, 지역 경제 활성화와 연계된 콘텐츠 개발, 역사·문화적 자산 활용, 교통 인프라 구축 및 연계 강화 등임을 밝혔다. 본 연구는 국내 항만 도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 수립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현재 북항 재개발중인 우리나라에 많은 교훈과 영감을 제공하고 또한 해외 도시재생 연구에도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rocess and effects of urban regeneration through public-private Partnerships, focusing on Yokohama Minato Mirai 21 in Japan, which successfully redeveloped the port of Yokohama and achieved urban regeneration. In particular, it aims to analyze the success factors of this region and derive implications for the Busan North Port Redevelopment Project, which is a major issue.
The Minato Mirai 21 Project is a large-scale urban development project promoted through public-private Partnerships centered on Yokohama City. This project is a comprehensive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at encompasses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regeneration based on physical regeneration. Yokohama City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planning stage of the project and played a role in the public sector, such as securing land and improving infrastructure, while Minato Mirai 21 Co., Ltd. was in charge of the actual project implementation, generating revenue through land sales, building leases, etc. and continuing reinvestment. The diverse urban regeneration resulting from the development of the Minato Mirai 21 district is largely divided into the Central District, New Port District, and Yokohama Station East Exit District.
The success factors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in this area were analyzed by categorizing them into two categories. First, a step-by-step implementation strategy was established under a long-term plan to specifically draw the future image of the city. Second, the government, private companies, and civil society worked closely together to establish a public-private Partnerships system, and the participation of citizens was actively encouraged to analyze cases in which the private sector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project. In other words, Minato Mirai 21 successfully created various cultural and artistic spaces and held exhibitions, performances, and events to provide local residents and tourists with opportunities to experience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s, thereby increasing the cultural diversity of the city and creating a creative atmosphere.
And the Minato Mirai 21 project was analyzed by largely categorizing it into six implications for the Busan North Port redevelopment project. These include establishing a long-term roadmap and preparing a solid blueprint, establishing a public-private Partnerships system and active private project participation, continuous content development and strengthening marketing through public-private Partnerships, content development linked to regional economic revitalization, utilizing historical and cultural assets, and building and strengthening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domestic port cities, as well as provide many lessons and inspiration to Korea, which is currently undergoing the North Port redevelopment, and also provide implications for overseas urban regeneration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민관협력을 통한 미나토미라이21의 도시재생
Ⅳ. 미나토미라이21 프로젝트의 성공 요인분석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도시 관련 諸문제들에 대한 일고찰 - 열 가지의 생각거리를 중심으로
- 민관협력을 통한 항만 도시재생, 요코하마 미나토미라이21
- 비트겐슈타인과 자아
- 동진 시기 사문예경논쟁을 통해 본 봉불사대부의 불교 인식
- 해서체 이체자에 나타난 『說文解字』 籒文의 영향
- 從「無题」詩淺探李商隐詩詞彙運用現象
- 19세기 중국 『海國圖志』와 일본『米歐回覽實記』에 수록된 외국 지명 음역 성모 비교 연구
- 14세기 위기, 개경의 再建과 後園 활용
- 주절에 대한 연체절의 시간적 의미에 따른 한일어 대응 관계 연구
- 『聚分韻略』 제본에 걸친 류(流)섭운의 자음형(字音形)에 대하여
- 북한이탈주민 1인 논평 유튜브 채널에 나타난 비언어 의사소통 연구 - <정성산TV>를 중심으로
- 스마트시티의 진화, 디지털 공간과 물리적 공간의 공진화 - 부산광역시 스마트시티 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 한미일 안보협력의 역동성 분석 및 전망 : 2008~2016년 사례 중심으로
- 튀니지에서 프랑스어권 아프리카 ‘이주·난민’의 혐오 현상에 대한 고찰
- 사회연결망의 크기와 강도 집단유형에 따른 개인 정서의 차이: 잠재 프로파일 분석의 활용
- 부산에 대한 국내 뉴스 보도의 프레임 연구 : 부산 국제화에 대한 시사점
- 언론권력에 관한 언론담론 분석 : 김영삼 정부에서 노무현 정부까지 신문사설을 중심으로
- 메가시티 학술담론의 형성과 구조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의과대학생의 동료평가 경험 분석
- 다문화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국가정체성의 관계: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의 적용
-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보육실습에서의 수업 실연 경험 연구
- 유아 교사의 소진과 이직 의도에 미치는 잡 크래프팅의 상대적 영향력
- 군 복무를 경험한 학생들의 대학 생활 태도 변화와 요인 탐색
- [서평] 칼 폴라니의 위대한 귀환: 『거대한 전환』의 실재성과 필요성을 중심으로
- 대학생의 그릿, 성공에 대한 기대, 실패내성의 관계에서 과제 가치의 조절된 매개효과
- 공유리더십, 내용적 경력정체, ISA몰입, 지식공유, 적응수행 간 구조적 관계 : 직무요구-자원 모델의 대처, 완충효과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부정적 자동적 사고 및 우울감 감소를 위한 인지행동 독서치료 프로그램 효과 연구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