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세기 중국 『海國圖志』와 일본『米歐回覽實記』에 수록된 외국 지명 음역 성모 비교 연구
이용수 33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f the Initials in the Transliterations of Foreign Place Names in the 19th-Century Chinese Haiguotuzhi and Japanese Beiokairanjikki
- 발행기관
-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김기원(Kiwon Kim)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제25권 제4호, 181~21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19세기 초중반 중국 문헌인 『海國圖志』와 19세기 후반 일본 정부 공식 문헌인 『特命全權大使米歐回覽實記』에 나타난 외국 지명 표기의 성모 유사성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이를 통해 일본과 중국의 외국 지명 표기 중 성모의 관련성을 규명하였다.
먼저, 『米歐回覽實記』에서 외국 지명을 추출한 후, 추출된 음역형태소의 성모(聲母)를 중국 중고음 성모 계통으로 재분류하여 중고음과 일본 한자음을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추출된 성모가 19세기 일본 한자음 음운 규칙에 따라 중국어 음역을 수정했는지, 혹은 일본 한자음 음운 규칙을 따르지 않고 중국어 음역을 그대로 사용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을 발견되었다.
첫째, 唇音系 幫母는 일본 한자음에서/h/로 나타나지만, 『米歐回覽實記』에서는 모두/b/ 또는/p/로 나타났으며/h/로 표기된 경우는 없었다. 非母는 모두/f/ 또는/p/로 관련되어 나타났다. 明母는 일본 한자음에서 吳音으로/m/, 漢音으로/b/가 나타나지만, 『米歐回覽實記』에서는 대부분/m/으로 표기되었다. 이로 볼 때, 일본 한자음의 특성보다는 중국의 표기 특성에 가깝다.
둘째, 舌音系 泥母, 娘母는 일본 한자음에서 吳音으로/n/, 漢音으로/d/로 나타나지만, 『米歐回覽實記』에서는 모두/n/으로 사용되었다. 이는 漢音의/d, t/ 발음이 사용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이로 볼 때, 일본 한자음의 특성보다는 중국의 표기 특성에 가깝다.
셋째, 牙音系 疑母는 일본 한자음에서 비음성이 상실된/g/로 나타났고, 『米歐回覽實記』에서도 疑母는/g/ 발음으로 일치하였다. 이는 일본이 중국의 음역 형태소를 재조합하거나 독자적으로 조어한 결과로 보인다.
넷째, 喉音系 匣母는 일본 한자음에서 吳音으로/g/, 漢音으로/k/로 나타난다. 『米歐回覽實記』에 수록된 荷蘭陀 등은 중국의 번역을 수정하거나 차용한 경우로 분석된다.
다섯째, 齒音系는 대부분/s/를 번역한 사례로, 중국의 번역을 참고하거나 차용한 것으로 보인다. 日母의/l, r/ 음역도 중국 번역을 참고 및 차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종합하면, 성모(聲母)가 중고음과 일치하는 비율은 牙音系 疑母/ng-/를 제외하고 거의 100%에 가까우며, /ng-/ 성모의 일치율은 50%로 나타났다. 이처럼 『米歐回覽實記』의 외국 지명 음역에 사용된 성모는 일본 한자음을 따르지 않고, 오히려 중국어 음역을 직접 차용하거나 재배열한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similarities in the initials (聲母) of foreign place names recorded in two 19th-century texts: the Chinese Haiguotuzhi (『海國圖志』) from the early to mid-19th century, and the official Japanese government document Tokumeizenkentaishi Beiokairanjikki (『特命全權大使米歐回覽實記』) from the late 19th century. The goal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nese and Japanese transcriptions of foreign place names, with a focus on the initials.
Foreign place names were first extracted from Beiokairanjikki, and the initials of the phonetic elements used in these transcriptions were reclassified according to the system of Middle Chinese initials. The transcriptions were then compared with Japanese kanji readings to determine whether the Japanese modified the Chinese transcriptions according to Japanese phonological rules or directly adopted Chinese phonetic elements without alteration.
Labial initials (唇音系), such as 幫母, appear as /h/ in Japanese kanji readings, but in Beiokairanjikki, they consistently appear as /b/ or /p/, with no instances of /h/. For 非母 (f, p), the phonetic elements relate to either /f/ or /p/, and 明母 appears as /m/ in most cases, even though it would be /m/ in Wu readings and /b/ in Han readings of Japanese kanji. This suggests that the transcriptions align more closely with Chinese phonological patterns than with Japanese.
For dental initials (舌音系), such as 泥母 and 娘母, which appear as /n/ in Wu readings and /d/ in Han readings of Japanese kanji, Beiokairanjikki consistently uses /n/, indicating that the Han reading sounds /d/ and /t/ were not used. Once again, this suggests a closer affinity to Chinese phonology.
Regarding velar initials (牙音系), 疑母 (ŋ, g) appears as /g/ in Japanese kanji readings, reflecting the loss of the nasal sound in Japanese, and in Beiokairanjikki, 疑母 is also represented as /g/. This suggests that Japan either rearranged Chinese phonetic elements or created new terms independently.
In the case of glottal initials (喉音系), 匣母 (g, k) appears as /g/ in Wu readings and /k/ in Han readings of Japanese kanji.
Sibilant initials (齒音系), especially those translating the sound /s/, seem to be derived from Chinese transcriptions, indicating that Japanese may have referenced or borrowed directly from Chinese translations. Similarly, the use of 日母 (/l, r/) phonetic elements likely follows the Chinese model.
In summary, the initials in Beiokairanjikki align almost perfectly with Middle Chinese phonology, except for 疑母 (ng-), which matches at about 50%. Overall, the foreign place names in Beiokairanjikki appear to be direct borrowings or rearrangements of Chinese phonetic elements, rather than transcriptions modified by Japanese kanji phonological rul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대상의 배경과 분석에 제기되는 몇 가지 문제
Ⅲ. 일본 한자음 특징을 중심으로 『米歐回覽實記』의 외국 지명 표기 성모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도시 관련 諸문제들에 대한 일고찰 - 열 가지의 생각거리를 중심으로
- 민관협력을 통한 항만 도시재생, 요코하마 미나토미라이21
- 비트겐슈타인과 자아
- 동진 시기 사문예경논쟁을 통해 본 봉불사대부의 불교 인식
- 해서체 이체자에 나타난 『說文解字』 籒文의 영향
- 從「無题」詩淺探李商隐詩詞彙運用現象
- 19세기 중국 『海國圖志』와 일본『米歐回覽實記』에 수록된 외국 지명 음역 성모 비교 연구
- 14세기 위기, 개경의 再建과 後園 활용
- 주절에 대한 연체절의 시간적 의미에 따른 한일어 대응 관계 연구
- 『聚分韻略』 제본에 걸친 류(流)섭운의 자음형(字音形)에 대하여
- 북한이탈주민 1인 논평 유튜브 채널에 나타난 비언어 의사소통 연구 - <정성산TV>를 중심으로
- 스마트시티의 진화, 디지털 공간과 물리적 공간의 공진화 - 부산광역시 스마트시티 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 한미일 안보협력의 역동성 분석 및 전망 : 2008~2016년 사례 중심으로
- 튀니지에서 프랑스어권 아프리카 ‘이주·난민’의 혐오 현상에 대한 고찰
- 사회연결망의 크기와 강도 집단유형에 따른 개인 정서의 차이: 잠재 프로파일 분석의 활용
- 부산에 대한 국내 뉴스 보도의 프레임 연구 : 부산 국제화에 대한 시사점
- 언론권력에 관한 언론담론 분석 : 김영삼 정부에서 노무현 정부까지 신문사설을 중심으로
- 메가시티 학술담론의 형성과 구조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의과대학생의 동료평가 경험 분석
- 다문화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국가정체성의 관계: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의 적용
-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보육실습에서의 수업 실연 경험 연구
- 유아 교사의 소진과 이직 의도에 미치는 잡 크래프팅의 상대적 영향력
- 군 복무를 경험한 학생들의 대학 생활 태도 변화와 요인 탐색
- [서평] 칼 폴라니의 위대한 귀환: 『거대한 전환』의 실재성과 필요성을 중심으로
- 대학생의 그릿, 성공에 대한 기대, 실패내성의 관계에서 과제 가치의 조절된 매개효과
- 공유리더십, 내용적 경력정체, ISA몰입, 지식공유, 적응수행 간 구조적 관계 : 직무요구-자원 모델의 대처, 완충효과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부정적 자동적 사고 및 우울감 감소를 위한 인지행동 독서치료 프로그램 효과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