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골관절염 여성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이용수 76

영문명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with osteoarthritis
발행기관
한국자료분석학회
저자명
전은미(Eun-Mi Jun)
간행물 정보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26 No.1, 309~320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통계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2.29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골관절염 여성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2016~202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의 골관절염 진단을 받은 여성노인 1,855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복합표본에서의 분석방법을 적용하였다.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집단 간 비교는 교차분석과 일반선형분석을 이용한 t-검정, 분산분석(ANOVA)을 이용하였으며, 사후검정은 Bonferroni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제 변수들과 골관절염 진단 여성노인의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는 상관계수를, 골관절염 여성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일반선형분석을 이용한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은 연령, 거주지, 결혼상태, 교육수준, 경제활동, 우울, 주관적 건강상태, 활동제한, 스트레스 인지, 흡연, 체질량지수, 걷기, 근력운동, 유산소운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건강특성에 따른 삶의 질은 연령, 거주지, 결혼상태, 교육수준, 경제활동, 우울, 주관적 건강상태, 활동제한, 스트레스 인지, 흡연, 걷기, 근력운동, 유산소운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삶의 질 측정결과 평균 0.82±0.18이었으며, 삶의 질은 연령, 주관적 건강상태, 스트레스 인지 정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유배우자, 가구소득이 높은 경우, 경제활동 유, 연령과 스트레스가 적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증가됨을 확인하였고, 모형의 설명력은 36.5%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각적이고 개별적인 간호중재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investigates factors impacting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with osteoarthritis. The study surveyed 1,855 participants using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from 2016 to 2020. Statistical analyses, conducted with SPSS/WIN 25, employed T-tests, analysis of variance (ANOVA), cross-analysis, and general linear analysis for descriptive statistics, along with Bonferroni post-hoc tests.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and the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with osteoarthritis were determined through correlation coefficients. Additionally,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general linear models. The study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life based on demographic such as age, residence, marital status, education level, economic activity, depression, subjective health status, activity limitation, stress perception, smoking, body mass index, exercise, and aerobic activity. Similar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life based on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including age, residence, marital status, education level, economic activity, depression, subjective health status, activity limitation, stress perception, smoking, body mass index, exercise, and aerobic activity. The average quality of life score for participants was 0.82±0.18, with notable correlations found with age,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stress perception.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cluded having a spouse, higher household income, engagement in economic activity, lower age, and lower stress levels, as well as higher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model's explanatory power was 36.5%.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underscores the necessity for comprehensive and individualized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은미(Eun-Mi Jun). (2024).골관절염 여성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26 (1), 309-320

MLA

전은미(Eun-Mi Jun). "골관절염 여성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26.1(2024): 309-3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