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폐성장애를 지닌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에 대한 특수교육지원센터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이용수 131
- 영문명
- Special Education Teachers’ Evaluation Experience for Determining Special Education Eligibility for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박현옥 이윤경 이효정 이영선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56권 제4호, 337~36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자폐성장애를 지닌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에 대한 특수교육지원센터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을 살펴보고 향후 자폐성장애를 지닌 특수교육대상자 선정 과정에서 어떠한 변화와 지원이 필요한지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특수교육대상자 선정과정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 12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5개의 핵심 주제와 16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 도출된 5개의 핵심주제는 1)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의 의미, 2) 특수교육대상자 선정 과정에서의 경험, 3) 진단평가 실행과 특수교육지원센터 차원의 노력, 4) 그럼에도 여전한 한계와 어려움, 5) 특수교육대상자 선별 체계와 개발될 진단평가 도구에 거는 바람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자폐성장애를 지닌 특수교육대상자 선정 과정이 특수교육 전달 체계의 일환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과 보다 타당하고 신뢰로운 선별이 이루어지기 위한 선별 도구 개발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evaluation experience and perception for determining special education eligibility for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For this reason,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2 special teachers who are currently in charge of diagnostic evaluation at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ocus group interview data, five main themes and 16 sub-themes were derived. The main themes were: 1)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determining special education eligibility for students with ASD; 2) experience in the diagnostic evaluation process; 3) experience and effort in diagnostic evaluation; 4) remaining limitations and difficulties; and 5) needs for a reasonable eligibility determination system and diagnostic evaluation tools for students with ASD. Based on these results, we conclude that the process of determining special education eligibility for students with ASD should be conducted as part of the special education delivery system. Additionally, future directions for valid and reliable screening and diagnostic evaluation tool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및 절차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교육학연구 제56권 제4호 목차
- 중도장애 유아를 위한 증강현실 기반 수업에 대한 인식과 실행 방안
- “있는 그대로”에 대한 통찰
- 포스트 코로나 대비 장애학생 원격수업 및 교육지원 방안 연구
- 농인의 생생한 목소리를 통한 생애사 연구
- 전국 발달장애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친 개인, 학교 및 가족 변인 탐색
- 자폐성장애를 지닌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에 대한 특수교육지원센터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 부모가 시행한 PECS 사용이 ASD 아동의 의사소통 및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 일반학교, 혁신학교, 정다운 학교에서의 통합교육 경험과 인식
- 건강관리 및 교육에 대한 발달장애 학생과 성인의 인식과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특수학교 전공과 개별화전환교육지원팀의 개인중심 ITP 운영에 관한 협력적 실행
- 기초학력 지원프로그램으로서 개별화 한글 파닉스 CAI 교육의 원격 수업과 원격-대면 혼합 수업의 효과 비교
- 장애인 가족의 지원 요구 조사를 위한 도구 개발
- 원격교육에서 과정 중심 쓰기 프로그램이 쓰기 학습장애 위험 학생의 쓰기능력과 쓰기동기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