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원격교육에서 과정 중심 쓰기 프로그램이 쓰기 학습장애 위험 학생의 쓰기능력과 쓰기동기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82
- 영문명
- The Effect of The Writing Process on Writing Skills and Writing Motivation for Students at Risk of Learning Disabilities in Distance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한은혜 김동일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56권 제4호, 75~10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코로나19’로 교육부에서 각급학교에 원격교육 체제를 도입하였으나 상·하위권 학생 간의 학습격차가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교육의 사각지대에 위치한 쓰기 학습장애 위험 학생을 대상으로 원격교육에서의 과정 중심 쓰기 프로그램이 쓰기능력과 쓰기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통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내용타당도 검증 및 예비연구를 통해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연구방법은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를 적용하여 3-4학년 쓰기 학습장애 위험 학생 4명에게 총 26회기에 걸쳐 중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종속변인인 쓰기능력은 총 음절 수, 다른 낱말 수, 작문능력으로 구분하여 단일대상연구의 시각적 분석 및 비중복 분석(PND, IRD, Tau-U)방법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쓰기동기는 검사도구를 활용하여 사전-사후 점수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중재 투입 후 쓰기능력 전반에서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고 작문능력의 효과크기의 평균값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쓰기동기에서는 사전 검사보다 사후 검사의 평균값이 증가하였다. 결과를 토대로 교육 현장에의 시사점 및 연구의 의의를 논하였으며,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Korea introduced a distance education system to each level of school. Still the academic achievement gap between low and high achievers continues to increa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riting programs based on the writing process and distance education for the writing skills and writing motivation for students at risk of writing learning disabilities. Firstly, the program was devised based on the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subjects within the common curriculum and validity of the program was secured through the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and pilot study. Subsequently, by applying a multiple-probe design across subjects, an intervention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26 sessions for four students at risk of writing learning disabilities in grades 3-4. Writing skill was analyzed through visual analysis and non-overlapping analysis PND, IRD, Tau-U), which are mainly used in single-subject research. Additionally, writing motivation was measured once each as a pre-post test by reconstructing the previously developed writing motivation test. As a result, in the visual analysis, most of the students showed an increasing trend in the intervention phase. The effect size of writing skills was also high, and composition skills was the highest among other variables of writing skills. As well, the pre-post average value for writing motivation was increased.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significance of the study; we also presented the limitations of practice and made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교육학연구 제56권 제4호 목차
- 중도장애 유아를 위한 증강현실 기반 수업에 대한 인식과 실행 방안
- “있는 그대로”에 대한 통찰
- 포스트 코로나 대비 장애학생 원격수업 및 교육지원 방안 연구
- 농인의 생생한 목소리를 통한 생애사 연구
- 전국 발달장애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친 개인, 학교 및 가족 변인 탐색
- 자폐성장애를 지닌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에 대한 특수교육지원센터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 부모가 시행한 PECS 사용이 ASD 아동의 의사소통 및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 일반학교, 혁신학교, 정다운 학교에서의 통합교육 경험과 인식
- 건강관리 및 교육에 대한 발달장애 학생과 성인의 인식과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특수학교 전공과 개별화전환교육지원팀의 개인중심 ITP 운영에 관한 협력적 실행
- 기초학력 지원프로그램으로서 개별화 한글 파닉스 CAI 교육의 원격 수업과 원격-대면 혼합 수업의 효과 비교
- 장애인 가족의 지원 요구 조사를 위한 도구 개발
- 원격교육에서 과정 중심 쓰기 프로그램이 쓰기 학습장애 위험 학생의 쓰기능력과 쓰기동기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척도 검사 설계를 적용한 수직척도화
- 고등학생의 진로적응력 주요 예측변수 탐색: XGBoost 및 SHAP 적용
- 초등학교 수학 기초학력 진단검사 문항난이도와 문항변별도에 미치는 요인 탐색 및 예측 모형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