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초학력 지원프로그램으로서 개별화 한글 파닉스 CAI 교육의 원격 수업과 원격-대면 혼합 수업의 효과 비교
이용수 91
- 영문명
- The Effectiveness of Hangeul Phonics CAI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Comparison of the Real-Time Distance Learning Group and Distance Learning-In Class Learning Combination Group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양민화 김보배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56권 제4호, 139~15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초학력 지원프로그램으로서 한글 파닉스 CAI 교육이 원격으로 진행된 그룹과 원격과 대면 수업을 혼합하여 진행한 그룹에서 교육의 효과에 차이가 발생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교육청에서 난독증이 의심되거나, 기초학습 부진이 심각하여 기초적인 읽기, 쓰기 교수가 필요하다고 의뢰된 초등학교 1, 2학년 아동 39명(원격 18명, 원격-대면 혼합 21명)이었다. 원격 교수 집단과 원격-대면 혼합 집단의 아동에게는 동일한 1:1 한글 파닉스 CAI 교육 프로그램이 평균 38.46회기 제공되었다. 교육 전과 후를 비교하여 한글 파닉스 능력에 향상이 있었는지 확인하고자 집단별로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두 집단이 보인 향상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ANCOVA 또는 Ranked ANC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두 집단 모두 교수 후에 음운인식, 자모지식, 단어읽기, 단어쓰기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관찰되었으며 두 집단 간에 향상도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한글 파닉스 교수에 있어서 학습의 어려움을 가진 학생들을 위해 효과가 증명된 증거 기반 SW를 활용한다면 원격만으로 진행되더라도 CAI 교육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효과적인 원격 수업 환경을 확보하기 위한 환경적 요건이 원격 CAI 교육의 효과를 담보하기 위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whether CAI Hangeul phonics instruction, which was developed based on direct instruction, is also as effective when it was delivered via the real-time distance learning system only, and compared to when it was delivered in a combined setting, in-class learning, and real-time distance learning. Thirty-nine first and second graders were recruited from 20 elementary schools across four school districts. The combination group of 18 students received Hangeul phonics CAI instruction by visiting reading support centers run by the school districts. They also received CAI instruction via the real-time distance learning system. The real-time distance learning only group received the same CAI instruction from their schools or from their own homes. The results revealed that both the combination group and the distance learning only group improved their phonics abilities across all measures. Also, no difference was found regarding the students’ improvements between the two CAI groups. This study revealed an interesting result: When the teachers used a scientifically proven instructional software program, and if there is an adult present who supports the distance learning environments, CAI distance learning can bring sufficient improvements in young students’ phonics skills whether in-class instruction was added or no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교육학연구 제56권 제4호 목차
- 중도장애 유아를 위한 증강현실 기반 수업에 대한 인식과 실행 방안
- “있는 그대로”에 대한 통찰
- 포스트 코로나 대비 장애학생 원격수업 및 교육지원 방안 연구
- 농인의 생생한 목소리를 통한 생애사 연구
- 전국 발달장애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친 개인, 학교 및 가족 변인 탐색
- 자폐성장애를 지닌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에 대한 특수교육지원센터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 부모가 시행한 PECS 사용이 ASD 아동의 의사소통 및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 일반학교, 혁신학교, 정다운 학교에서의 통합교육 경험과 인식
- 건강관리 및 교육에 대한 발달장애 학생과 성인의 인식과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특수학교 전공과 개별화전환교육지원팀의 개인중심 ITP 운영에 관한 협력적 실행
- 기초학력 지원프로그램으로서 개별화 한글 파닉스 CAI 교육의 원격 수업과 원격-대면 혼합 수업의 효과 비교
- 장애인 가족의 지원 요구 조사를 위한 도구 개발
- 원격교육에서 과정 중심 쓰기 프로그램이 쓰기 학습장애 위험 학생의 쓰기능력과 쓰기동기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척도 검사 설계를 적용한 수직척도화
- 고등학생의 진로적응력 주요 예측변수 탐색: XGBoost 및 SHAP 적용
- 초등학교 수학 기초학력 진단검사 문항난이도와 문항변별도에 미치는 요인 탐색 및 예측 모형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