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반학교, 혁신학교, 정다운 학교에서의 통합교육 경험과 인식
이용수 82
- 영문명
-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n Inclusive Education in General Schools, Innovative Schools, and Jeongdaun Schools: A Focus on Elementary Schools of the Incheon Area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이대식 김광백 정가희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56권 제4호, 251~27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일반학교와 혁신학교, 정다운 학교에서 장애 학생의 통합교육에 대한 경험과 인식을 상호 비교 분석하여 학교 유형 간 차이와 공통점을 알아보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인천지역 세 유형의 학교에서 통합학급 담당교사, 특수교사, 학부모 총 9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통해 통합교육 경험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세 학교에서의 통합교육 관련 경험과 인식 측면에서는 다음 다섯 가지 주요 사항이 도출되었다: 1) 세 학교 간 통합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정도와 코로나 19 사태 이후 통합교육 경험은 차이가 있다. 대체로 혁신학교와 정다운 학교 상황이 일반학교에 비해 긍정적이다; 2) 세 학교 모두에서 통합교육은 시스템이나 제도보다는 특수교사나, 통합학급 담당교사, 관리자 개인의 인식과 태도, 역량에 의존하고 있다; 3) 통합교육 개선 과제에서 관리자 및 통합학급 교사의 장애 인식개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교원양성과정에서부터 학교 현장까지 지속적이고, 보다 전문적인 장애인식개선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4) 학부모에게 있어서 통합교육은 단순히 학교 교육을 넘어서 매우 절박한 선택지다; 5) 통합교육 개념에 대해서는 연구 참여자 집단 간 약간의 차이가 있다. 둘째,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해서는 실질적인 통합교육 강화를 위한 실무사 지원 등 구체적인 대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the differences and commonalities between school typ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xperiences of teachers and parents in general schools, innovative schools, and Jeongdaun schools. For this purpose, inclusive education experienc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interviews with a total of nine teachers in charge of integrated classrooms,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from three types of schools in the Incheon area.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five conclusions were derived on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n inclusive education in three school types: 1)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in the degree of inclusive education between the three schools. In general, the inclusive education situation of innovative schools and Jeongdaun schools was more positive than that of general schools; 2) In all three schools, inclusive education relied heavily on individual teacher competency and personal acquaintance with teachers rather than systems or regulations; 3) The perception of managers and teachers in charge of inclusive classrooms still needs improvement. Education for disability awareness should be more professional in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and in each school; 4)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clusive education was the necessary and urgent option; 5) There was a difference in conception on inclusive education among the three types of schools. Second, for inclusive education to succeed, it was especially necessary to document each group’s performance within their responsible roles, and to supplement the education process with para-professional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교육학연구 제56권 제4호 목차
- 중도장애 유아를 위한 증강현실 기반 수업에 대한 인식과 실행 방안
- “있는 그대로”에 대한 통찰
- 포스트 코로나 대비 장애학생 원격수업 및 교육지원 방안 연구
- 농인의 생생한 목소리를 통한 생애사 연구
- 전국 발달장애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친 개인, 학교 및 가족 변인 탐색
- 자폐성장애를 지닌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에 대한 특수교육지원센터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 부모가 시행한 PECS 사용이 ASD 아동의 의사소통 및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 일반학교, 혁신학교, 정다운 학교에서의 통합교육 경험과 인식
- 건강관리 및 교육에 대한 발달장애 학생과 성인의 인식과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특수학교 전공과 개별화전환교육지원팀의 개인중심 ITP 운영에 관한 협력적 실행
- 기초학력 지원프로그램으로서 개별화 한글 파닉스 CAI 교육의 원격 수업과 원격-대면 혼합 수업의 효과 비교
- 장애인 가족의 지원 요구 조사를 위한 도구 개발
- 원격교육에서 과정 중심 쓰기 프로그램이 쓰기 학습장애 위험 학생의 쓰기능력과 쓰기동기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