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인 가족의 지원 요구 조사를 위한 도구 개발
이용수 44
- 영문명
- The Development of the Family Support Needs Survey(FSNS) for Families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고희선 박지연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56권 제4호, 105~137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가족의 지원 요구에 근거한 가족지원 제공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장애인 가족의 지원 요구 조사를 위한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을 통해 문항을 추출하고 집단 및 개별 면담을 거쳐 문항 초안을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3회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통해 장애인 가족지원 요구 조사지 초안을 구성하는 문항의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고 마지막으로 요구 조사지의 사용자 편의성을 검토하여 장애인 가족지원 요구 조사지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개발된 장애인 가족지원 요구 조사지는 장애 자녀를 위한 지원 요구(6개 하위영역), 장애 자녀 이외의 가족을 위한 지원 요구(8개 하위영역), 특별한 고려 사항의 세 범주로 구성되어 있다. ‘특별한 고려 사항’은 다문화 가정과 한부모 가정을 위한 범주이며, 각각 장애 자녀와 부모를 위한 문항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선의 장애인 가족지원을 실행하기 위한 기초 조사와 가족지원 과정 및 지원 종료 후 점검에 활용될 수 있는 요구 조사지를 개발하였다. 둘째, 본 요구 조사지를 실제로 사용할 장애인 가족들을 대상으로 편의성 검사를 실시함으로써 이 도구가 장애인 가족의 지원 요구 조사에 적절함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family support needs survey(FSNS)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which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verify the support needs of families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provide family support. To this end, items were extracted through literature analyses, and a draft question was developed through group and individual interviews. Next, through the Delphi metho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items constituting the draft tool was verified; then, the user convenience of the tool was reviewed to complete a survey development. The FSNS consisted of three categories: support need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six sub-areas), support needs for families other than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ight sub-areas), and special considerations. “Special considerations” are divided into multi-cultural families and single-parent families, and each consists of questions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the parents.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veloped the needs survey that can be utilized in planning, implementing, monitoring and evaluating the family support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e study also confirmed that the survey is an appropriate tool to verify the needs of families with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rough convenience tests of those who will use the FSNS and suggested various ways to use the tool.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교육학연구 제56권 제4호 목차
- 중도장애 유아를 위한 증강현실 기반 수업에 대한 인식과 실행 방안
- “있는 그대로”에 대한 통찰
- 포스트 코로나 대비 장애학생 원격수업 및 교육지원 방안 연구
- 농인의 생생한 목소리를 통한 생애사 연구
- 전국 발달장애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친 개인, 학교 및 가족 변인 탐색
- 자폐성장애를 지닌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에 대한 특수교육지원센터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 부모가 시행한 PECS 사용이 ASD 아동의 의사소통 및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 일반학교, 혁신학교, 정다운 학교에서의 통합교육 경험과 인식
- 건강관리 및 교육에 대한 발달장애 학생과 성인의 인식과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특수학교 전공과 개별화전환교육지원팀의 개인중심 ITP 운영에 관한 협력적 실행
- 기초학력 지원프로그램으로서 개별화 한글 파닉스 CAI 교육의 원격 수업과 원격-대면 혼합 수업의 효과 비교
- 장애인 가족의 지원 요구 조사를 위한 도구 개발
- 원격교육에서 과정 중심 쓰기 프로그램이 쓰기 학습장애 위험 학생의 쓰기능력과 쓰기동기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