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도장애 유아를 위한 증강현실 기반 수업에 대한 인식과 실행 방안
이용수 79
- 영문명
- The Perception and Implementation Plan for Augmented Reality-Based Classes for Young Children With Moderate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박찬우 한경근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56권 제4호, 43~7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중도장애 유아를 위한 증강현실 기반 수업에 대한 인식과 실행 방안, 사용성 향상 방안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AR 기반 수업에 대한 인식과 전문가들의 경험적·이론적 지식을 확인하기 위해 개념도 분석을 실시 하였다. 연구절차는 특수교육과 교육공학, 공학 계열의 전문가 22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후 개발된 진술문을 대상으로 다차원척도 분석과 위계적 군집 분석, 타당도 평정을 실시하여 중도장애 유아를 위한 AR 기반 수업에 대한 개념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전문가들은 중도장애 유아를 위한 AR 기반 수업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AR 기반 수업은 체제적 교수설계 과정에 따라 교수 전략을 구체화함으로써 실현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셋째, 중도장애 유아를 위한 AR콘텐츠의 사용성 향상 방안으로 행동유도성, 맥락유지성, 감각정보성이 제시되었다. 위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도장애 유아를 위한 AR 기반 수업에 대한 인식과 실행 방안, 사용성 향상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후속 연구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AR 기반 교수의 실행 방안에 대한 다각적인 실증 연구와 교수설계를 위한 원리 개발이 필요하며 교수자와 학습자, 개발자를 중심으로 교육과정 기반 디지털콘텐츠 개발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ecessity and implementation strategy of augmented reality(AR)-based classes for young children with moderate disabilities. Regarding the research method, a conceptual diagram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perception of AR-based classes and the empirical and theoretical knowledge of experts. First,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2 experts in the special education, educational engineering, and engineering fields. Afterwards, a multidimensional scale analysis,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and validity evaluation were performed on the developed statements to analyze the conceptual map of AR-based classes for young children with moderate disabil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experts positively recognized the need for AR-based classes for young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Second, we confirmed that AR-based classes require the development of teaching strategies according to the systematic instructional design process. Third, we suggested methods such as action induction, context maintenance, and sensory information to improve the usability of AR contents for young children with moderate disabilities. Based on the above study results, we discussed the necessity and implementation plan for AR-based classes for young children with moderate disabilities, and the characteristics and usability improvement principles of AR contents. Subsequent research requires the development of various empirical studies and instructional models for the AR-based teaching strategy developed in this stud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immersive content based on the curriculum and centered on teachers,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developers.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교육학연구 제56권 제4호 목차
- 중도장애 유아를 위한 증강현실 기반 수업에 대한 인식과 실행 방안
- “있는 그대로”에 대한 통찰
- 포스트 코로나 대비 장애학생 원격수업 및 교육지원 방안 연구
- 농인의 생생한 목소리를 통한 생애사 연구
- 전국 발달장애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친 개인, 학교 및 가족 변인 탐색
- 자폐성장애를 지닌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에 대한 특수교육지원센터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 부모가 시행한 PECS 사용이 ASD 아동의 의사소통 및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 일반학교, 혁신학교, 정다운 학교에서의 통합교육 경험과 인식
- 건강관리 및 교육에 대한 발달장애 학생과 성인의 인식과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특수학교 전공과 개별화전환교육지원팀의 개인중심 ITP 운영에 관한 협력적 실행
- 기초학력 지원프로그램으로서 개별화 한글 파닉스 CAI 교육의 원격 수업과 원격-대면 혼합 수업의 효과 비교
- 장애인 가족의 지원 요구 조사를 위한 도구 개발
- 원격교육에서 과정 중심 쓰기 프로그램이 쓰기 학습장애 위험 학생의 쓰기능력과 쓰기동기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척도 검사 설계를 적용한 수직척도화
- 고등학생의 진로적응력 주요 예측변수 탐색: XGBoost 및 SHAP 적용
- 초등학교 수학 기초학력 진단검사 문항난이도와 문항변별도에 미치는 요인 탐색 및 예측 모형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