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국 발달장애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친 개인, 학교 및 가족 변인 탐색
이용수 173
- 영문명
- Exploring Individual, School, and Family Variables in School Satisfac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박승희 김유진 한선영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56권 제4호, 223~24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 발달장애(지적장애, 자폐성장애)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 수준과 배경변인에 따른 학교생활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하고,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 변인을 검증하고, 그 변인들의 영향력 크기를 비교하여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장애인개발원(2019)의 「장애인삶 패널조사」 중 ‘2차수 데이터’를 사용하였는데, 그것은 ‘제1회 장애인삶 패널조사 학술대회’ 논문 발표자를 위해 2021년 7월에 ‘처음’ 공개된 자료이었다. 조사엔 등록장애인 5,527명이 전국에서 참여하였고, 그중 발달장애인 518명 중에서 초등학생 163명 자료가 분석되었다. 배경변인은 선행연구를 기초로 개인변인 5가지, 학교변인 4가지, 가족변인 4가지로 총 13가지를 판별하였다. 통계분석 방법으로 t검정과 일원분산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배경변인에 따른 학교생활만족도 차이 분석 결과, 개인변인에서는 ‘전반적 건강상태가 좋은’ 학생들; 학교변인에서는 ‘교사의 이해 부족 및 편견을 경험하지 않은’ 학생들, ‘친구들에게 장애에 대한 배려를 받고 있는’ 학생들,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없는’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만족도가 높았다. 가족변인에서는 ‘부모가 차별받고 있지 않은’ 학생들, ‘부모의 장애수용 정도가 상위 50%인 집단’의 학생들, ‘부모와 학교생활 관련 대화를 하는’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학교생활만족도가 높았다. 학교변인 중에는 친구들의 장애에 대한 배려 정도와 학교폭력 피해 여부가, 가족변인 중에는 부모가 경험한 차별 정도, 부모의 장애수용, 부모-자녀 간 학교생활 관련 대화 정도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변인들의 영향력 크기 비교 결과, 부모-자녀 간 학교생활 관련 대화 정도 변인이 가장 높았다. 학교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친 변인은 개인변인보다는 학교변인과 가족변인이 더 높은 것으로, 부모가 경험하는 사회에서의 차별 정도도 주요 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교생활만족도 증진을 위해 학교, 교사, 부모 및 한국 사회가 어떠한 측면에서 개선이 요구되는지를 시사하였고, 발달장애학생의 주관적 평가가 요청되는 맥락에서 본인응답 기회 증진의 필요성을 지적하였으며, 「장애인삶 패널조사」의 차후 조사에 요청되는 개선사항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school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elementary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DD), to identify the variables affecting school satisfaction, and to compare their effects. This study analyzed the parent report of 163 elementary students with DD using “2019 Disability and Life Dynamics Panel Survey” of the Korea Disabled People's Development Institute(KODDI). The background variables consisted of individual, school, and family variables.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in terms of individual variables, those who reported “they were in good health” showed higher school satisfaction. Regarding the school variables, those who have not suffered from “a lack of understanding and prejudice of the teachers”, who “had friends considerate of their disability”, and who have not experienced “school violence” showed higher school satisfaction than the opposite. Concerning family variables, those who reported that “their parents have not suffered any discrimination”, those in the “top 50% of parents' disability acceptance group”, and those who reported “they often have conversations about school life with their parents” were more satisfied with school life than those who did not. It was found that “friends' consideration for disability” had a positive effect, “school violence experience” had a negative effect, and “parent’s disability acceptance” and “parent-child conversation on school life” had a positive effect. Comparing the magnitude of effects among the variables, that of “parent-child conversation on school life” was the highes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howed the possibility of evaluating school satisfaction from a subjective perspective of students with DD, and that it calls attention to student-centered perspectives for teachers, parents, and researchers. The study pointed out the limitations in the data set collected by the 2019 Disability and Life Dynamics Panel Survey, suggesting improvements for future panel surveys and follow-up stud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교육학연구 제56권 제4호 목차
- 중도장애 유아를 위한 증강현실 기반 수업에 대한 인식과 실행 방안
- “있는 그대로”에 대한 통찰
- 포스트 코로나 대비 장애학생 원격수업 및 교육지원 방안 연구
- 농인의 생생한 목소리를 통한 생애사 연구
- 전국 발달장애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친 개인, 학교 및 가족 변인 탐색
- 자폐성장애를 지닌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에 대한 특수교육지원센터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 부모가 시행한 PECS 사용이 ASD 아동의 의사소통 및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 일반학교, 혁신학교, 정다운 학교에서의 통합교육 경험과 인식
- 건강관리 및 교육에 대한 발달장애 학생과 성인의 인식과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특수학교 전공과 개별화전환교육지원팀의 개인중심 ITP 운영에 관한 협력적 실행
- 기초학력 지원프로그램으로서 개별화 한글 파닉스 CAI 교육의 원격 수업과 원격-대면 혼합 수업의 효과 비교
- 장애인 가족의 지원 요구 조사를 위한 도구 개발
- 원격교육에서 과정 중심 쓰기 프로그램이 쓰기 학습장애 위험 학생의 쓰기능력과 쓰기동기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사범대학 예비 중등교사의 교직 진출 의도와 영향 요인 분석 연구
- 초등교사의 학생중심수업에 대한 교사협력의 효과: 협력 유형 및 경력별 분석
- 고교학점제 정책 문서에서 나타나는 교사 전문성 담론에 관한 비판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