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있는 그대로”에 대한 통찰
이용수 35
- 영문명
- An Insight into “As It Is”: Contemplating Special Educational Methodology Based on Disability Stud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정은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56권 제4호, 1~1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특수교육 현장에서 다양한 형식의 개별 지원은 가장 기초가 되는 교육 형식이면서 동시에 가장 성찰이 많이 필요한 영역이다. 왜냐하면 개별 지원은 학생 한 명 한 명의 고유성에 기반한 교육 활동이면서 동시에 해당 학생의 사회적 삶의 확장에 실제적으로 기여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입장에서 장애학적 특수교육방법론을 고민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자연선택이론과 진화된 마음 역량을 살펴보았는데, 이를 통해 인간은 서로 다름으로 인해 모두가 생존할 수 있었고 이 과정에서 다름을 수용하는 역량이 진화되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특수교육 현장에서 개별 지원을 실천할 때에도 이러한 관점이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특수교육방법론이 추상에서 구체로 전환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시 말해 학생들의 개개인성이 존중받는 가운데 다양한 사회적 환경과의 풍요로운 접촉이 가능할 수 있도록 장애학생 개별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individual support in various forms is the most basic form of education and also require the most reflection as it offers educational activities based on the uniqueness of an individual student. At the same time, these supports should make real contributions to the expansion of his or her social life. This study was conceived to contemplate special education methodology based on disability studies. The study first examined the theory of natural selection and the capabilities of the evolved mind, and found that human beings were all able to survive due to their differences and their evolving capabilities by accepting differences. These findings should become foundational in the practice of individual support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and promote a shift from abstract to specific methodology. In other words, individual support should be provided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so that they can be respected for their individuality and have rich contact with diverse social environments.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자연선택이론(Darwin)과 진화된 마음 역량
Ⅲ. 장애학적 특수교육방법론
Ⅳ. 나오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교육학연구 제56권 제4호 목차
- 중도장애 유아를 위한 증강현실 기반 수업에 대한 인식과 실행 방안
- “있는 그대로”에 대한 통찰
- 포스트 코로나 대비 장애학생 원격수업 및 교육지원 방안 연구
- 농인의 생생한 목소리를 통한 생애사 연구
- 전국 발달장애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친 개인, 학교 및 가족 변인 탐색
- 자폐성장애를 지닌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에 대한 특수교육지원센터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 부모가 시행한 PECS 사용이 ASD 아동의 의사소통 및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 일반학교, 혁신학교, 정다운 학교에서의 통합교육 경험과 인식
- 건강관리 및 교육에 대한 발달장애 학생과 성인의 인식과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특수학교 전공과 개별화전환교육지원팀의 개인중심 ITP 운영에 관한 협력적 실행
- 기초학력 지원프로그램으로서 개별화 한글 파닉스 CAI 교육의 원격 수업과 원격-대면 혼합 수업의 효과 비교
- 장애인 가족의 지원 요구 조사를 위한 도구 개발
- 원격교육에서 과정 중심 쓰기 프로그램이 쓰기 학습장애 위험 학생의 쓰기능력과 쓰기동기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