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수학교 전공과 개별화전환교육지원팀의 개인중심 ITP 운영에 관한 협력적 실행
이용수 129
- 영문명
- A Cooperative Action Research on Person-Centered ITP of the Majoring Course ITP Team in a Special School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윤지운 임경원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56권 제4호, 159~18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특수학교 전공과 교사가 개별화전환교육지원팀과의 협력적 실행을 통해 개인중심 ITP를 운영하는 과정과 그 과정에서 얻게 된 실천적 지식은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6명의 전공과 학생과 보호자, 전공과 교사 6명이었으며, 총 9차례의 사례회의를 중심으로 순환적·반성적 과정을 거치는 협력적 실행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포괄적 분석절차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특수교사의 실천적 지식은 ‘왜 개인중심 ITP인가’, ‘어떻게 개인중심 ITP를 활용한 것인가, ‘학생의, 학생에 의한, 학생을 위한 개인중심 ITP’ 라는 3개의 상위범주와 9개의 하위범주, 30개 의미 단위로 도출되었다. 연구결과, 연구의 실행과정에서 개인중심 ITP의 효과적 운영을 위해서는 개별화전환교육지원팀의 소통과 협력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개인중심 ITP 회의가 학생에게는 자기표현이 향상되는 계기가 되고 보호자에게는 자녀의 성인기 삶에 대한 구체적 탐색의 계기 및 전환계획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는 기회가 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협력적 실행에 참여한 교사들은 학생의 강점에 주목하고 잠재력 개발을 위해 노력하게 되었으며, 개인중심 ITP가 특수학교 전공과 학생의 전환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데 효과적이며, 특히 학생 주도적 실행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on the person-centered individualized transition plan through cooperative practice with an ITP(individualized transition plan) team.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six students from a post-secondary program for vocational education, their guardians, and six teachers. Regarding the cooperative action research method, nine case-conferences were conducted through a cyclical and reflective proces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the inclusive analytic procedure. The practical knowledg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summarized as “Why use person-centered ITP,” “How to use person-centered ITP,” and “Person-centered ITP of students, by students, and for students,”, was derived into three super-categories, nine sub-categories, and 30 semantic unit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possible to effectively implement person-centered ITP operations through the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of the ITP team. Person-centered ITP meetings were found to be an opportunity for students to improve their self-expression, and for guardians to increase their interest in specific explorations of their children’s adult life and conversion plans. In addition, person-centered ITP was effective in establishing and executing the individualized transition plan for post-secondary programs for vocational education.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cooperative implementation focused on the students’ strengths and made efforts to develop their potential.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교육학연구 제56권 제4호 목차
- 중도장애 유아를 위한 증강현실 기반 수업에 대한 인식과 실행 방안
- “있는 그대로”에 대한 통찰
- 포스트 코로나 대비 장애학생 원격수업 및 교육지원 방안 연구
- 농인의 생생한 목소리를 통한 생애사 연구
- 전국 발달장애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친 개인, 학교 및 가족 변인 탐색
- 자폐성장애를 지닌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에 대한 특수교육지원센터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 부모가 시행한 PECS 사용이 ASD 아동의 의사소통 및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 일반학교, 혁신학교, 정다운 학교에서의 통합교육 경험과 인식
- 건강관리 및 교육에 대한 발달장애 학생과 성인의 인식과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특수학교 전공과 개별화전환교육지원팀의 개인중심 ITP 운영에 관한 협력적 실행
- 기초학력 지원프로그램으로서 개별화 한글 파닉스 CAI 교육의 원격 수업과 원격-대면 혼합 수업의 효과 비교
- 장애인 가족의 지원 요구 조사를 위한 도구 개발
- 원격교육에서 과정 중심 쓰기 프로그램이 쓰기 학습장애 위험 학생의 쓰기능력과 쓰기동기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