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한제국기 종묘 黃蓋의 특징과 형식변화
이용수 59
- 영문명
- The Characteristic and Form transition of Jongmyo Yellow Shrine (Ritual objects) in the Korean Empire Period
- 발행기관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저자명
- 박현주
- 간행물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제26집 1권, 145~15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대한제국기는 종전의 국가체제와는 격이 다른 황제국으로 승격된 정치제도를 갖추어야 했기 때문에 황제 즉위의례와 부속 의주를 제정하여 국가 전례를 마련하였다. 종묘 황개는 황제국의 의장(儀仗)으로 대한제국기에만 사용이 가능했다. 상징적으로는 의례용 노부(鹵簿)에 해당하고, 이와 유사한 역할을 하는 산(繖), 산(傘), 선(扇)과 함께 소용되었다. 부묘 시에 도감에서 제작되어 신주와 함께 종묘로 이안(移安)되었다. 종전의 제후국 의장에 해당하는 홍개(紅蓋)는 청개(靑蓋)와 구분하여 사용하였으나 광무개혁을 통해 황개(黃蓋)로 교체하였다. 제국 의례에 대한 선례가 없어 중국 명대 황의장을 채택하고 그 규모와 형식은 간소하게 하였다.
대한제국기에 종묘 황개는『대한예전 서례』에 의주로서 규정하고, 의궤 도식에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어 그 제도와 양식은 조선의 예제와 의식을 그대로 채용하고 있었다. 제도는 홍개와 청개와 같다. 구조는 기본적으로 산과 같이 자루와 대살과 담통으로 구성되고, 용례에 따라 색을 달리한 비단을 덮개를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로써 황개의 구조와 형태는 종전의 의례용 제구로서의 형식을 그대로 채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한제국기에 정비된 종묘의 황개는 황제국으로서의 위용과 위엄을 상징하는 한편 자주독립의 의미를 함축한 의례용 예기로서의 구조와 특징을 갖춘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Jongmyo Hwanggae was defined as Uiju in the Introduction to the Korean Tradition, and it was recorded in detail in the Uigwe schematic, so the system and style adopted Joseon's examples and rituals. The system is the same as Honggae and Cheonggae. The structure basically consists of a handle, bamboo, and a barrel like a mountain, and it was investigated that silk with different colors was used as a cover depending on the usag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structure and form of Hwanggae adopted the previous form as a ritual control. It was confirmed that the Hwanggae of Jongmyo Shrine, which was renovated during the Korean Empire, symbolized the majesty and dignity as an emperor country, while having a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as a ceremonial flag that implies independence.
목차
Ⅰ. 서 론
Ⅱ. 대한제국기의 의장제도
Ⅲ. 황개의 제도와 양식변화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형디자인연구 제26집 1권 목차
- 문화상품을 통한 전통공예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 대한제국기 종묘 黃蓋의 특징과 형식변화
- 중국 페미니스트미술에서 일상적 오브제의 활용에 관한 연구
- 비물질의 물질화를 통한 확장된 기억 오브제의 해석 가능성 연구
- 패키지 디자인 감소요소를 중심으로 한 친환경 디자인
- 《수니야노올자》에서 나타나는 1990년대 한국미술의 동시대성
- 페라나칸(Peranakan) 가구를 통해 본 창덕궁 대조전 가구의 양식 특성
- 태극과 팔괘 문양을 활용한 치즈나이프 디자인 연구
- 전통 지우산(紙雨傘)을 활용한 공예 제품 디자인 연구
- 내면세계의 그림자를 표현한 실크 페인팅 연구
- 현대 제기 디자인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현대공예의 디지털 리터러시 현황과 과제
- 프로타주를 활용한 수피 무늬 주조 기물 제작 연구
- 이고르 코발로프의 <창가의 새>에 나타난 욕망의 표상들
- 근대 학교교육에서 공예교육의 발생배경과 흐름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학예사의 문화 향유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피에르 부르디외의 문화자본 이론을 중심으로
-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천을 위한 미술과 수업 프로그램 개발
-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미술과 서술형·논술형 평가의 교육적 의의 및 적용 방향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