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통 지우산(紙雨傘)을 활용한 공예 제품 디자인 연구
이용수 75
- 영문명
- A Study on Craft Product Design Using Traditional Korean Umbrella: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Indoor Wall Mount Umbrella
- 발행기관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저자명
- 조준연 윤성호
- 간행물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제26집 1권, 251~27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고대 사회 우산은 높은 신분을 표상하는 시각적인 상징물로 오랫동안 사용되었다. 우산을 펴고 접는 기본 구조는 현재에도 큰 변화 없이 지속되고 있지만, 한국 우산은 역사적으로 각 시대의 생활양식과 사회 문화적 맥락에 상응하는 용도에 따라 조금씩 변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구한말 개항기를 기점으로 처음 등장한 서양 우산은 높은 휴대성을 바탕으로 우산의 대중적 유행을 선도하였다. 실용성과 대중성을 모두 갖춘 외래 우산의 영향을 받아 전통 지우산은 크기, 구조 및 소재의 변화를 시도하였으나, 완벽한 방수 기능의 인조 소재와 초경량 금속 뼈대로 대량 생산된 현대 우산에 밀려 결국 단절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 우산의 역사와 변화 과정의 고찰을 토대로, 한국 지우산 제작 기법을 활용하여 현대인의 생활양식에 적합한 지우산 공예 제품 디자인을 제안하고 시제품을 제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철기 시대부터 광복 전후까지의 우산 사료 조사를 바탕으로 한국 우산의 역사와 변화 과정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였다. 또한 서양 우산의 유입으로 형태와 재료가 변화하던 한국 전통 지우산이 단절된 배경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전라북도무형문화재 윤규상이 복원한 전통 지우산 작품을 분석하여 세 가지 현재적 가치를 도출하였다. 이를 기준으로 실내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현대인에게 지우산의 현재적 가치를 시각적 경험으로 제공하기 적합한 실내용 벽걸이 지우산 <조각우산>을 제시하였고, 끝으로 전통 지우산 재료와 제작 공정을 활용하여 시제품을 제작하고 제품성을 검증하였다. 우산 내부에 설치가 가능한 소형 LED 조명을 별도로 설계하여 사용자가 어두운 실내 환경에서도 <조각우산>을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무형유산은 수천 년 넘게 자연과 공존하며 인간의 손으로 탄생시킨 기물의 변화 과정을 담고 있다. 생활양식과 가치관의 변화를 고려한 디자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국내 무형유산 제작 기술을 활용한 공예 제품의 창조적 계승에 보탬이 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Umbrella, from ancient society, has long been used as a visual symbol to represent high status. Although the basic structure of opening and folding the umbrella continues without significant change, traditional Korean umbrella have changed its form slightly depending on its historical uses corresponding to the changes in lifestyle and sociocultural context. Western umbrella, first appeared in late 19th century, led the popular trend based on high practicality and personal use. Influenced by portable Western umbrella, traditional Korean umbrella attempted to match its popularity by changing its size, structure and materials, but was unsuccessful and eventually became discontinu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umbrella design concept using the traditional Korean umbrella craft technique, and to produce a functional prototype suitable for indoor modern lifestyle based on the historical changes of Korean umbrella. First, a theoretical review of the history and the changes in Korean umbrella was conducted from Iron age to modernizing period in Korea. Reasons for the various shape changes leading to discontinuation of traditional Korean umbrella after the influx of Western umbrella was also examined. Next, by analyzing the traditional Korean umbrella restored by Yoon Kyu-sang, an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for Chullabuk-do, three core values were derived which may be suitable for today’s increased indoor lifestyle. Based on the three values, an indoor wall mount design concept was proposed in order to maximize the visual experience. Finally, a prototype was successfully produced utilizing the traditional Korean umbrella materials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verifying its product feasibility. In addition, LED light specific to was designed in order to be used in the dark indoor environme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ovides a deep insight into the process of handmade objects in connection to nature.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futur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new craft products utilizing the traditional craft manufacturing technique derived from the Korean intangible heritage.
목차
Ⅰ. 머리말
Ⅱ. 한국 지우산의 전통과 변모
Ⅲ. 전통 지우산을 활용한 공예 제품 개발
Ⅳ.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형디자인연구 제26집 1권 목차
- 문화상품을 통한 전통공예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 대한제국기 종묘 黃蓋의 특징과 형식변화
- 중국 페미니스트미술에서 일상적 오브제의 활용에 관한 연구
- 비물질의 물질화를 통한 확장된 기억 오브제의 해석 가능성 연구
- 패키지 디자인 감소요소를 중심으로 한 친환경 디자인
- 《수니야노올자》에서 나타나는 1990년대 한국미술의 동시대성
- 페라나칸(Peranakan) 가구를 통해 본 창덕궁 대조전 가구의 양식 특성
- 태극과 팔괘 문양을 활용한 치즈나이프 디자인 연구
- 전통 지우산(紙雨傘)을 활용한 공예 제품 디자인 연구
- 내면세계의 그림자를 표현한 실크 페인팅 연구
- 현대 제기 디자인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현대공예의 디지털 리터러시 현황과 과제
- 프로타주를 활용한 수피 무늬 주조 기물 제작 연구
- 이고르 코발로프의 <창가의 새>에 나타난 욕망의 표상들
- 근대 학교교육에서 공예교육의 발생배경과 흐름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학예사의 문화 향유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피에르 부르디외의 문화자본 이론을 중심으로
-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천을 위한 미술과 수업 프로그램 개발
-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미술과 서술형·논술형 평가의 교육적 의의 및 적용 방향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