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근대 학교교육에서 공예교육의 발생배경과 흐름

이용수 137

영문명
The Genesis Background and Flow of Craft Education in Modern School Education: Focusing on the Manual Training of Modern Western
발행기관
한국조형디자인학회
저자명
강정현
간행물 정보
『조형디자인연구』제26집 1권, 11~3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3.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근대 학교교육에서 전문가 양성이 아니라 일반 소양을 기르는 공예교육의 발생배경과 흐름을 살펴보고 의미를 되새기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손으로 재료와 도구를 다루어 사물을 만드는 행위가 근대 학교교육에 왜 도입되었으며, 확산되었는지를 밝히는 것은 현재 학생들을 위한 공예교육의 필요성과 가치를 확인시켜줄 수 있기 때문이다. 연구방법은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하였다. 공예교육의 초기 형태로 볼 수 있는 19세기 유럽 수공교육은 기존의 주지주의 교육의 대안으로서 채택되었다. 학생을 위한 수공교육은 시그나에우스에 의해 공교육에 하나의 교과로 편입되었으며, 살로몬의 슬로이드시스템이라는 체계를 갖추어 교육되어졌다. 이러한 시도는 유럽 전체로 확산되었고, 미국으로 건너가 듀이의 실험학교에 영향을 미쳤다. 20세기 학생들을 위한 공예교육은 주로 교육이론가들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리드, 아이스너 등은 다양한 재료를 체험하고 도구를 사용하여 형태를 구현하는 활동이 필수적인 미술활동이라고 주장하였다. 이는 손과 머리, 마음이 결합된 ‘공예적 과정’은 창의력을 높이고 경험세계를 확장하여, 개인의 발전을 도모하며 사회와의 소통에 기여한다는 의미이다. 연구 결과, 학교교육에서 공예교육은 19세기부터 지속적으로 이성 중심 교육이나 전형적인 교과 위주의 교육에 균형을 제공하여 심신이 조화로운 전인적 인간상을 육성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또한 우리나라 학교교육에서 공예교육의 성격을 규정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연구에서 도출된 공예교육의 가치, 즉 ‘손과 정신의 협응력을 통한 인지발달의 가치’, ‘손기술과 노동의 가치’, ‘통합적 가치’, ‘심층적 사고와 표현의 가치’, ‘좋은 습관과 태도의 가치’는 현재에도 유효한 공예교육의 가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background of genesis and flow of craft education not to foster professionals but to cultivate common refinement. For identifying the reason that object making activity handling material and tools with hand was introduced and spread can confirm the necessity and value of craft education for students in present time. The method is based on reference research. European manual training in 19th century, assumed as the early form of craft education, as an alternative for conventional intellectualism education. Manual training for students was incorporated into public education as a subject by Cygnaeus and taught with the establishment of an educational system called Salamon’s sloyd system. These attempts were spreaded throughout Europe and gone over to the U.S. to affect to Dewey’s laboratory school. Manual training, or craft education for students was mainly practiced by art theorists in 20th century. Read, Eisner and others referred experiencing various materials and realizing forms using tools as essential activities. This means that ‘craft process’, combination of the hand, brain and mind, enriches creativity and expands world of experience to promote personal development and contribute to communication with society. The study shows that craft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 system has provided balance to rationalistic or typical textbook centered education since 19th century, playing significant roll to cultivate holistic humanity with balanced mind-body. Addition to this, it has affected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craft education in Korean education system. It has ensured that the values of craft education drawn from the study, including ‘the value of cognitive development through hand-mind coordination’, ‘the value of manual skill and labor’, ‘the holistic value of reason and sensitivity’, ‘the value of in-depth thinking and expression’, ‘the value of good habit and manner’, is valid nowadays.

목차

Ⅰ. 서 론
Ⅱ. 19세기의 수공교육
Ⅲ. 20세기 공예교육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정현. (2023).근대 학교교육에서 공예교육의 발생배경과 흐름. 조형디자인연구, 26 (1), 11-34

MLA

강정현. "근대 학교교육에서 공예교육의 발생배경과 흐름." 조형디자인연구, 26.1(2023): 11-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