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등학교 학생들의 고전시가 학습 경향과 감상 능력 연구
이용수 9
- 영문명
- The Classical Poetry Appreciation 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현정 남민우 구영산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98호, 523~571쪽, 전체 4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31
8,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학생들의 고전시가 학습 경향과 감상 능력 및 이 두 범주 사이의 상관관계를 실증적으로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고등학생 316명과 교사 1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 및 평가를 실시했다. 그 결과, 학생들의 ‘고전시가에 대한 인식’ 범주의 평균값은 높았으나, ‘고전시가의 내면화’와 ‘고전시가 지식’ 범주의 평균값은 매우 낮았다. 학생들의 고전시가 감상 능력 등급은 ‘중’ 등급이 절반 이상의 비율을 차지했다. 학생들의 고전시가 학습 경향과 감상 능력 간의 상관관계에서 학생들의 ‘고전시가 지식’과 ‘고전시가 감상 능력’ 간의 상관관계가 매우 높았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교사 설문에서는 고전시가 수업에서 중시하는 감상 방법과 교사들의 교수 학습 경향을 파악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고전시가 교육의 실천에서는 ‘고전시가의 내면화’에 주목하여 교수 학습의 방법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으며, 고전시가교육 연구에서는 고전시가 학습 경향 중 ‘고전시가 지식’과 ‘고전시가 내면화’에 관한 심화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We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disposition and appreciation ability of classical poetry in high school students. We conducted a survey of 316 high school students and 13 teachers across Korea. We found a high score on perception of classical poetry, but a low score on internalization and knowledge of classical poetry. More than half of the students scored in the middle range of appreciation ability. There was a high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of classical poetry and appreciation ability of classical poetry. In the survey of teachers we also found what methods of appreciation teachers think are important. Based on these results, we recommend that learning and instruction methods should be developed for the internalization of classical poetry. As an area for future research, we should study more about acquired knowledge of classical poetry and the internalization of classical poetry in education.
목차
1. 연구 목적
2. 연구 설계
3. 결과 분석 및 논의
4.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민족혼을 제거한 문화주의 교과서
- 어휘 능력 및 어휘 학습에 관한 초등학생의 인식 조사 연구
- 대학의 의사소통 교육 진단 모형 개발
- 공공 문식성 제고를 위한 공문서 텍스트의 평가와 분석
- 초등 문학교육의 내용과 실제의 논리와 방향 모색
- 개념과 역사적 실제
- 문학 교육과정에서 ‘즐거움’의 구체화를 위한 예비적 고찰
- 교과서 시 작품을 바라보는 세 가지 시선
- 다문화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
- 국어 문법 교육에서의 의미 교육의 한계와 전망
- 고등학교 학생들의 고전시가 학습 경향과 감상 능력 연구
- ‘슬프다’ 구문에 대한 통시적 고찰
- 초등학생 4학년 고유어 명사 파생 접미사의 생산성 연구
- 아동극 번안의 원리 연구
- 독서교육용 텍스트로서 그림책의 가능성 탐색
- 국어교육 내용으로서의 ‘실제’
- 다문화 교육을 위한 그림자의 인식 과정과 두 그림책에서 교육적 의미 찾기
- 한국어 상대높임법 실현의 영향 요인 연구
- 창의성의 재개념화와 국어교육의 지향과 과제
- 설명적 글쓰기와 설득적 글쓰기에서 대학생 필자의 자료 선택에 대한 연구
- 한국어교육에서의 ‘-냐’계 어미 교육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이숭녕과 김수경의 통사론 비교 -『고등국어문법』(이숭녕, 1956)과 김수경의 『조선어 문법』(김수경, 1955)를 대상으로-
- 한·중 술어명사 구문 대조 연구
- 지역 연계형 한국어교육을 위한 교수자 인식 조사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