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과서 시 작품을 바라보는 세 가지 시선
이용수 4
- 영문명
- Three Perspectives on Textbook Poems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주환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98호, 495~52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교과서 시에 대한 전문가, 교사, 학생들의 해석 양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전문가들의 작품 연구 자료와 교사와 학생들의 작품 감상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보면 전문가들의 경우 작품을 시대 상황과 관련시켜 해석하는 경향이 지배적이었으나 작품 자체의 내적 맥락에 따라 해석하는 경향도 있었다. 그러나 교과서 시에 대한 교사들의 반응은 대체로 교과서와 지도서, 참고서에서 소개하는 지배적인 해석과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학생들의 경우에는 교사들과 달리 교과서식 해석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이기 보다는 작품에 대해 자기 나름대로 능동적인 해석을 보여주었다. 작품에 대한 학습유무에 따라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작품을 학습한 학생일수록 교과서식 해석의 양상을 강하게 보이는데 반해 학습을 하지 않은 학생일수록 다양한 해석을 시도하는 경향이 강했다. 학생들의 작품 해석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교과서 시 작품을 시대적 배경이나 삶의 현실과 관련해서 획일적으로 해석하도록 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작품 내적 맥락에 따라 학생들이 자유롭게 해석할 수 있도록 격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ways of interpretation regarding three poems presented in Korean language arts textbook, focusing on the eyes of professional poetry critics, teachers, and students. This study found out that the professional critics had two tendencies to interpretate poems; using situational information of the work’s times or focusing on the inner context of each poem. Teachers’ interpretations were similar with information presented in the textbook, teacher’s guides, and other instructional materials. On the contrary, students produced active interpretations by their own eyes. Students’ interpretations were different from the level of experience taking literary classes; students who took the literary classes showed similar interpretations with the textbook. This study results emphasize to encouraging students’ own and free eyes to interpretate poems using inner context of the work, not to be confined to standard interpretations presented in the textbooks.
목차
1. 서론
2. 교과서 시 작품에 대한 전문가의 시선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및 논의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민족혼을 제거한 문화주의 교과서
- 어휘 능력 및 어휘 학습에 관한 초등학생의 인식 조사 연구
- 대학의 의사소통 교육 진단 모형 개발
- 공공 문식성 제고를 위한 공문서 텍스트의 평가와 분석
- 초등 문학교육의 내용과 실제의 논리와 방향 모색
- 개념과 역사적 실제
- 문학 교육과정에서 ‘즐거움’의 구체화를 위한 예비적 고찰
- 교과서 시 작품을 바라보는 세 가지 시선
- 다문화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
- 국어 문법 교육에서의 의미 교육의 한계와 전망
- 고등학교 학생들의 고전시가 학습 경향과 감상 능력 연구
- ‘슬프다’ 구문에 대한 통시적 고찰
- 초등학생 4학년 고유어 명사 파생 접미사의 생산성 연구
- 아동극 번안의 원리 연구
- 독서교육용 텍스트로서 그림책의 가능성 탐색
- 국어교육 내용으로서의 ‘실제’
- 다문화 교육을 위한 그림자의 인식 과정과 두 그림책에서 교육적 의미 찾기
- 한국어 상대높임법 실현의 영향 요인 연구
- 창의성의 재개념화와 국어교육의 지향과 과제
- 설명적 글쓰기와 설득적 글쓰기에서 대학생 필자의 자료 선택에 대한 연구
- 한국어교육에서의 ‘-냐’계 어미 교육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이숭녕과 김수경의 통사론 비교 -『고등국어문법』(이숭녕, 1956)과 김수경의 『조선어 문법』(김수경, 1955)를 대상으로-
- 한·중 술어명사 구문 대조 연구
- 지역 연계형 한국어교육을 위한 교수자 인식 조사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