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어교육 내용으로서의 ‘실제’
이용수 30
- 영문명
- ‘Actuality’ as the Content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창원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98호, 7~3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교육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실제’의 본질과 역사를 살펴보고, ‘실제’가 지닌 다면성과 다층성을 분석한 뒤, 교육과정의 ‘실제’를 국어교육의 실제로 구현하는 방안을 살펴보았다. 학교 교육은 본질적으로 실제성과 추상성의 긴장 위에 서 있다. 이 긴장을 해소하는 장치가 교육과정의 ‘실제’이며, 국어과 교육과정은 6차에서 처음 ‘실제’를 제시한 이후 2012년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실제’의 실제성을 높이기 위해 꾸준히 노력해 왔다. 실제 국어 현상은 의사소통 모형을 참조하여 텍스트의 실제성, 매체의 실제성, 맥락과 행위의 실제성, 문화·담론의 실제성 측면에서 ‘실제’화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다시 여러 층위로 나타난다. 이러한 다면성과 다층성은 교과서와 교수-학습에서 모델 제시, 자료 제시, 상황 제시, 전략 요구, 산출 요구의 방식으로 구현되며, 그 과정에서 ‘실제’는 지식·기능·태도·맥락·매체와 긴밀하게 관련을 맺는다.
영문 초록
Through this paper, I looked at essence and history of ‘Actuality’ that takes huge part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Also, I analyzed various and multi-layered aspects of Actuality and searched ways to realize authenticity of curriculum in Korean language teaching. School education is based on tension between reality and abstractness. Actuality is what settles this tension, and from the first announcement of Actuality in the 6th curriculum and up to 2012 curriculum, Korean language curriculum has been trying to get positive responses. However, Actuality holds ingrained dilemma since it is a replica of real language usage. By using the model of communication as a reference, language curriculum can be designed centrally using authenticity of 'text', 'media', 'context and act', and 'discourse and culture'. Each of these holds multi-layered aspects. The various and multi-layered aspects of Actuality are realized by showing models or texts, definitizing contexts, and asking some strategies or outputs from the textbooks and lectures. From this process, Actuality gains close relationship with knowledge, skill, attitude, context and media in Korean language teaching.
목차
1. 서론
2. 국어의 실제와 교육과정의 ‘실제’
3. 국어교육 내용으로서의 ‘실제’의 다면성과 다층성
4. ‘실제’의 구현에 관련되는 변인들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민족혼을 제거한 문화주의 교과서
- 어휘 능력 및 어휘 학습에 관한 초등학생의 인식 조사 연구
- 대학의 의사소통 교육 진단 모형 개발
- 공공 문식성 제고를 위한 공문서 텍스트의 평가와 분석
- 초등 문학교육의 내용과 실제의 논리와 방향 모색
- 개념과 역사적 실제
- 문학 교육과정에서 ‘즐거움’의 구체화를 위한 예비적 고찰
- 교과서 시 작품을 바라보는 세 가지 시선
- 다문화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
- 국어 문법 교육에서의 의미 교육의 한계와 전망
- 고등학교 학생들의 고전시가 학습 경향과 감상 능력 연구
- ‘슬프다’ 구문에 대한 통시적 고찰
- 초등학생 4학년 고유어 명사 파생 접미사의 생산성 연구
- 아동극 번안의 원리 연구
- 독서교육용 텍스트로서 그림책의 가능성 탐색
- 국어교육 내용으로서의 ‘실제’
- 다문화 교육을 위한 그림자의 인식 과정과 두 그림책에서 교육적 의미 찾기
- 한국어 상대높임법 실현의 영향 요인 연구
- 창의성의 재개념화와 국어교육의 지향과 과제
- 설명적 글쓰기와 설득적 글쓰기에서 대학생 필자의 자료 선택에 대한 연구
- 한국어교육에서의 ‘-냐’계 어미 교육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이숭녕과 김수경의 통사론 비교 -『고등국어문법』(이숭녕, 1956)과 김수경의 『조선어 문법』(김수경, 1955)를 대상으로-
- 한·중 술어명사 구문 대조 연구
- 지역 연계형 한국어교육을 위한 교수자 인식 조사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