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주의 혁명과 정의
이용수 46
- 영문명
- Socialist Revolution and Justice
- 발행기관
- 혜암신학연구소
- 저자명
- 최형묵
- 간행물 정보
- 『신학과교회』제17호, 459~490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각자에게 정당한 몫에 대한 권리를 보장하는 정의의 의미는 오랫동안 기왕에 주어진 조화로운 질서 안에서 마땅한 몫을 보장하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그 정의 개념에서 벗어나 평등한 인간들이 스스로 구성하는 사회에 대한 인식이 뚜렷해지면서 정의는 명확하게 사회적 성격을 띠게 된다. 오늘날 정의는 곧 사회정의를 의미할 만큼 일반화된 이 개념은 사실상 근대에 들어 비로소 형성되었다. 이와 같은 근대적 사회정의의 개념은 인간 스스로 정의로운 사회를 형성하기 위한 역사적 운동으로서 사회주의와 밀접한 관련을 지닐 수밖에 없었다. 사회주의는 새롭게 형성된 사회정의를 이루고자 하는 열정과 방법을 함축하는 또 다른 이름이 되었다. 그러나 자본주의 사적 소유를 철폐하고자 하는 역사적 운동으로서 사회주의를 종합하고 주도한 마르크스(Karl Marx)는 정의의 개념을 건설적인 개념으로 받아들이기를 거부하였다. 그 까닭이 무엇이었을까? 마르크스가 특정한 도덕적 개념들을 거부한 것은 모든 의식의 형태가 당대의 지배적인 생산관계에 기초한 사회관계를 반영하고 있다는 것 때문이었다. 그는 많은 도덕적 개념들이 당대의 사회적 모순을 은폐하는 것으로 오용되고 있는 현실의 허구를 드러내고 그것이 단지 지배계급의 이데올로기에 지나지 않는다고 보았다. 그러기에 그는 그 개념들에 매이기보다는 현실 자체의 모순을 드러내고, 실현 가능한 세계에 대한 전망을 그리는 데 집중하였다. 그러나 다른 한편 마르크스는 소외를 극복한 자유의 나라에 대한 비전을 일관되게 지향하였다. 그에게서 인간 삶의 조건에 대한 엄밀한 과학적 분석을 시도하는 기술적(descriptive) 정확성은 바람직한 인간사회를 추구하는 규범적 적합성과 괴리된 것은 아니었다. 이와 같은 그의 입장은 인간이 인간답게 사는 사회에 대한 희망과 열정을 환기해줄 뿐 아니라, 그것을 실질적으로 보장하는 조건을 탐색하는 방법과 실천의 철저성을 일깨워준다.
영문 초록
The meaning of justice, which guarantees each person the right to a fair share, has long been regarded as guaranteeing a fair share in the harmonious order given in the past. Deviating from such a concept of justice, as the awareness of the society constituted by equal human beings becomes clearer, justice takes on a clear social character. This concept, which has been generalized enough to mean social justice today, was formed only in modern times. Such a concept of modern social justice was inevitably closely related to socialism as a historical movement to form a just society for human beings themselves. Socialism has become another name that connotes the passion and method to achieve the newly formed social justice. However, in the case of Karl Marx, who synthesized and led socialism as a historical movement to abolish capitalist private property, he refused to accept the concept of justice as a constructive concept. What was the reason? Marx's rejection of certain moral concepts was that all forms of consciousness reflected social relations based on the prevailing relations of production at the time. He saw that many moral concepts revealed the fiction of reality that was misused to cover up the social contradictions of the time, and that it was nothing more than the ideology of the ruling class. Therefore, he focused on revealing the contradiction of reality itself and drawing a vision for a feasible world rather than being bound by those concepts. On the other hand, however, Marx consistently pursued a vision for country of freedom that overcomes alienation. From him, the descriptive accuracy of attempting a rigorous scientific analysis of the conditions of human life was not separated from the normative suitability to pursue a desirable human society. His position not only evokes hope and passion for a society in which humans live like human beings, but also reminds us of the thoroughness of the method and practice of exploring the conditions that actually guarantee it.
목차
I. 시작하는 말
II. 사회의 발견과 사회정의 개념의 형성
III. 사적 소유의 폐지로써의 사회주의와 정의
IV. 정의를 필요로 하는 사회와 정의를 초월한 사회
V. 정의를 초월한 사회, 당위적 요청인가 역사적 기술인가?
VI. 마치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민중운동사에서 정의 개념의 발전
- 생태 정의
- 토마스 아퀴나스의 자연법사상과 정의론
- [논평 1] 곽혜원 교수의 “여성 주도 성혁명 시대에 논하는 21세기의 시대적 과제
- 히브리 성서에서 본 하나님의 정의
- 라인홀드 니버의 정의와 사랑
- [발제문] 여성 주도 성혁명 시대에 논하는 21세기의 시대적 과제
- 기후 위기와 하느님 나라의 정의
- 두 왕국론의 사랑과 정의
- [논평 2] 곽혜원 교수의 “여성 주도 성혁명 시대에 논하는 21세기의 시대적 과제
- [권두언] 정의의 하나님과 사랑의 하나님
- 신학과교회 제17호 목차
- 환대와 포용을 통해 젠더 정의를 실천한 성서의 정경공동체
- 인의론, 우리는 죽음의 세계를 벗어날 수 있는가?
- “모든 존재가 생명을 누리는 것”이 하나님의 정의이다
- 사회주의 혁명과 정의
- 존 롤스와 앙엘리카 크렙스의 정의론에 대한 신학적-윤리적 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종교학분야 NEW
-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AIDT) 도입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 <종교교육학연구> 30년 연구 동향 분석
- 신약성경의 “이웃”(περίοικος, πλησίον, γείτων)의 용례와 생태학적 의미로 확장된 이웃사랑의 가르침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