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토마스 아퀴나스의 자연법사상과 정의론
이용수 87
- 영문명
- The Theory of Natural Law and Justice according to Thomas Aquinas
- 발행기관
- 혜암신학연구소
- 저자명
- 김용해
- 간행물 정보
- 『신학과교회』제17호, 211~24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자연법에 관한 역사 안에서의 다양한 논의들은 실정법과 다른 차원의 법이념을 추구하는 인간의 특성을 지시하고 있다. 가톨릭교회는 토마스의 자연법 전통을 기초로 혼인, 공동선, 법의 기초, 정치체계, 교도권과 관련된 교리를 전개하고 있다. 이 글에서 필자는 주로 『신학대전』(Summa Theologiae)에 드러난 자연법과 정의에 관한 토마스 아퀴나스의 생각을 소개하고 현대에도 비판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비전을 찾아 보려 한다. 그러기 위해서 토마스의 인간관, 자연법과 법에 대한 기본 이념 그리고 정의라는 윤리적 덕과 이 덕에 의해 파악된 다양한 정의개념, 즉 법적 정의, 보상적 정의, 분배적 정의를 살펴보고 현대에도 여전히 풍부한 영감을 주는 자살과 절도에 관한 생각을 좀 더 깊이 들여다보려 한다. 마지막 장에서는 자연법이 자연주의적 오류인지에 대한 이슈, 자연법에 대한 불가지론과 무신론적 비판과 이에 대한 자연법적 응답을 시도하면서 자연법론이 현대에도 의미 있는 사유인지 성찰한다.
영문 초록
Various discussions on natural law in history indicate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beings who pursue a law-idealism that is different from a law-positivism. The Catholic Church has been developing its doctrines related to marriage, the common good, the basis of law, the political system, and the magisterium based on Thomas's tradition of natural law. In this article, I mainly introduce Thomas Aquinas' thoughts on natural law and justice developed in Summa Theologiae, and try to find a vision that can be critically accepted even today. To this end, Thomas's view of man, the basic ideology of natural law and law, the ethical virtue of justice, and various concepts of justice grasped by this virtue, namely legal justice, compensatory justice, and distributive justice, will be examined. And we will dive deeper specially into thoughts about suicide and theft, which give us many inspirations even today. In the last chapter, the issue of whether natural law is a naturalistic error, an agnostic and atheistic criticism of natural law, and respective responses of the theory of natural law will be examined, and we will try to reflect on whether the theory of natural law is meaningful in modern times.
목차
I. 시작하는 말
II. 토마스 아퀴나스의 자연법사상
III. 토마스 아퀴나스의 정의론
IV. 결어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민중운동사에서 정의 개념의 발전
- 생태 정의
- 토마스 아퀴나스의 자연법사상과 정의론
- [논평 1] 곽혜원 교수의 “여성 주도 성혁명 시대에 논하는 21세기의 시대적 과제
- 히브리 성서에서 본 하나님의 정의
- 라인홀드 니버의 정의와 사랑
- [발제문] 여성 주도 성혁명 시대에 논하는 21세기의 시대적 과제
- 기후 위기와 하느님 나라의 정의
- 두 왕국론의 사랑과 정의
- [논평 2] 곽혜원 교수의 “여성 주도 성혁명 시대에 논하는 21세기의 시대적 과제
- [권두언] 정의의 하나님과 사랑의 하나님
- 신학과교회 제17호 목차
- 환대와 포용을 통해 젠더 정의를 실천한 성서의 정경공동체
- 인의론, 우리는 죽음의 세계를 벗어날 수 있는가?
- “모든 존재가 생명을 누리는 것”이 하나님의 정의이다
- 사회주의 혁명과 정의
- 존 롤스와 앙엘리카 크렙스의 정의론에 대한 신학적-윤리적 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종교학분야 NEW
-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AIDT) 도입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 <종교교육학연구> 30년 연구 동향 분석
- 신약성경의 “이웃”(περίοικος, πλησίον, γείτων)의 용례와 생태학적 의미로 확장된 이웃사랑의 가르침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