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민중운동사에서 정의 개념의 발전
이용수 44
- 영문명
- Development of the Idea on Justice in Minjung History
- 발행기관
- 혜암신학연구소
- 저자명
- 김경재
- 간행물 정보
- 『신학과교회』제17호, 377~40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한국의 근현대 민중역사 특히 민중항쟁사에서 정의 개념의 발전과정을 고찰하는 것이다. 근현대 한국 민중항쟁사에서 특히 대표적 상징사건으로서 다섯 가지를 선별하여 주제 시각에서 성찰하였다. 다섯 가지 대표적 민중항쟁사건으로 동학혁명, 3.1독립운동, 제주 4.3사건, 4.19혁명, 군사정부 기간 사건들 중에서 3.1민주구국선언 사건과 5.18광주민주화 운동을 조명했다. 민중항쟁사에서 살펴본 정의 개념은 생명가치존엄, 인간평등권, 국가권력과 경제권력의 탈신성화 그리고 지구 지속가능한 생태학적 윤리의 실현 등이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idea of Justice in Korean Minjung history. For this study, five important historical events are selected from many Minjung events that happened during modern Korean history (1960-2020). For this study, I concentrate my research on the point of the basic problematic tension between the power and vocational element in modern national-capitalictic life.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modern nation and capitalism have strengthened their power to control over the individual persons, especially over the powerless Minjung. Finally nationalism and capitalism consummate quasi-religious functions. If their quasi-religious claim is only a claim to uncontrolled politico-capitalistic power, it is demonic and self-destructive. Sometimes the sacred and inviolable nation and capital kill Minjung recklessly, even committing a great massacre. Korean Minjung's Idea of justice may be condensed like maintaining the dignity of human beings, the desacralization of political power, impartial fairness of governance, sharing profits for communal life, and sustainableecological ethics.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한국의 상징적 사건들과 정의
III. 촛불혁명 이후 변화된 지구촌 상황과 민중의 정의 개념: 정치경제권력의 공공성, 공정성 그리고 생태학적 윤리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민중운동사에서 정의 개념의 발전
- 생태 정의
- 토마스 아퀴나스의 자연법사상과 정의론
- [논평 1] 곽혜원 교수의 “여성 주도 성혁명 시대에 논하는 21세기의 시대적 과제
- 히브리 성서에서 본 하나님의 정의
- 라인홀드 니버의 정의와 사랑
- [발제문] 여성 주도 성혁명 시대에 논하는 21세기의 시대적 과제
- 기후 위기와 하느님 나라의 정의
- 두 왕국론의 사랑과 정의
- [논평 2] 곽혜원 교수의 “여성 주도 성혁명 시대에 논하는 21세기의 시대적 과제
- [권두언] 정의의 하나님과 사랑의 하나님
- 신학과교회 제17호 목차
- 환대와 포용을 통해 젠더 정의를 실천한 성서의 정경공동체
- 인의론, 우리는 죽음의 세계를 벗어날 수 있는가?
- “모든 존재가 생명을 누리는 것”이 하나님의 정의이다
- 사회주의 혁명과 정의
- 존 롤스와 앙엘리카 크렙스의 정의론에 대한 신학적-윤리적 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종교학분야 NEW
-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AIDT) 도입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 <종교교육학연구> 30년 연구 동향 분석
- 신약성경의 “이웃”(περίοικος, πλησίον, γείτων)의 용례와 생태학적 의미로 확장된 이웃사랑의 가르침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