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라인홀드 니버의 정의와 사랑
이용수 52
- 영문명
- Reinhold Niebuhr's Understanding of Justice and Love
- 발행기관
- 혜암신학연구소
- 저자명
- 이장형
- 간행물 정보
- 『신학과교회』제17호, 277~305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라인홀드 니버의 논의는 심각한 갈등 사회 가운데서 있는 한국 사회가 새겨보아야 할 사회윤리적 논의들을 담고 있다. 개인윤리의 연장선상에서가 아니라, 기독교적 인간이해를 바탕으로 견제와 균형을 통한 윤리적 목표 달성을 추구한 사회윤리학자 니버는 정의에 대해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 필자는 라인홀드 니버의 정의 이해를 설명하기 위해서 기독교현실주의, 사회윤리방법론, 사랑과 정의의 변증법이란 세 가지 측면에서 논의를 전개하였다. 첫째로, 기독교현실주의는 다양한 종류의 이상주의에 대한 비판에서 시작하여 기독교적 인간관과 사회이해를 윤리의 바탕에 두고 있다. 감상적 차원이 아니라 개인과 사회가 처한 정치적 상황에서 제거할 수 없는 현실이 무엇인가를 파악하고, 다양한 대결과 분쟁에 있어서 근본적으로 뚜렷한 힘을 갖는 것이 무엇인지에 주목한다. 니버는 사회, 정치적 상황에 있어서 모든 요소들이 자기 이익과 힘의 요소에 의해 제정된 규범들에 저항하는 경향을 갖고 있다고 보았다. 둘째로, 사회윤리의 기본적인 주제는 인간 사회 형성에서의 도덕적 옳음과 선이다. 그러나 여기에 그치지 않고 사회윤리는 개인과 사회의 ‘관계’를 다룬다. 개인의 도덕적 의식이나 도덕성이 사회 혹은 사회적 시스템의 도덕성이나 비도덕성과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 단순한 개인윤리의 연장선에서가 아니라 힘의 견제와 균형을 사용한 윤리적 실천이 필요하다. 셋째로, 정의는 사랑과 분리되어 생각될 수 없다. 정의는 항상 아가페 사랑과 변증법적인 관계에 있을 때 의미를 갖게 되는 것이다. 정의는 서로 이기심이 상충하는 죄악된 사회에서 형제의식을 근사치로 실현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사랑과 정의는 현실사회 속에서 변증법적 관계 가운데 발전해 갈 수 있다.
영문 초록
Reinhold Niebuhr's works contain social ethical discussions that the Korean society in the midst of social conflicts should consider. What does Niebuhr say, a social ethicist who pursues social ethical goals through checks and balances based on a Christian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about justice? This paper mainly deals with three aspects of Christian ethics: Christian realism, social ethical methodology, and dialectics of love and justice. First, Christian realism begins with criticism of various types of idealism, and is based on Christian understanding of humans and society. Not at the sentimental level, but at the political situation of individuals and society, this paper takes notice of what in reality cannot be removed and pays attention to what fundamentally has distinctive power. Niebuhr sees that all factors in social and political situations tend to resist norms established by elements of self-interest and power. Second, the basic theme of social ethics is the moral righteousness and goodness in the formation of human society. However, social ethics does not stop here but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and society. An individual's moral consciousness and morality have an inseparable relationship with social morality or the social system. Third, justice cannot be considered separate from love. Justice always has meaning when dealing with a dialectical relationship with the Agape love. Justice can be seen as realizing an approximation of the brotherhood in a sinful society, where selfishness conflicts with each other. Love and justice can develop in a dialectical relationship in real society.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기독교현실주의와 정의 이해
III. 사회윤리방법론과 정의 실현
IV. 정의와 아가페 사랑의 변증법
V.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민중운동사에서 정의 개념의 발전
- 생태 정의
- 토마스 아퀴나스의 자연법사상과 정의론
- [논평 1] 곽혜원 교수의 “여성 주도 성혁명 시대에 논하는 21세기의 시대적 과제
- 히브리 성서에서 본 하나님의 정의
- 라인홀드 니버의 정의와 사랑
- [발제문] 여성 주도 성혁명 시대에 논하는 21세기의 시대적 과제
- 기후 위기와 하느님 나라의 정의
- 두 왕국론의 사랑과 정의
- [논평 2] 곽혜원 교수의 “여성 주도 성혁명 시대에 논하는 21세기의 시대적 과제
- [권두언] 정의의 하나님과 사랑의 하나님
- 신학과교회 제17호 목차
- 환대와 포용을 통해 젠더 정의를 실천한 성서의 정경공동체
- 인의론, 우리는 죽음의 세계를 벗어날 수 있는가?
- “모든 존재가 생명을 누리는 것”이 하나님의 정의이다
- 사회주의 혁명과 정의
- 존 롤스와 앙엘리카 크렙스의 정의론에 대한 신학적-윤리적 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종교학분야 NEW
-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AIDT) 도입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 <종교교육학연구> 30년 연구 동향 분석
- 신약성경의 “이웃”(περίοικος, πλησίον, γείτων)의 용례와 생태학적 의미로 확장된 이웃사랑의 가르침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