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두 왕국론의 사랑과 정의
이용수 23
- 영문명
- Love and Justice in the Teaching of Two Kingdoms
- 발행기관
- 혜암신학연구소
- 저자명
- 김영한
- 간행물 정보
- 『신학과교회』제17호, 243~275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루터와 칼빈 종교개혁자들은 교회와 국가의 영역을 하나님 통치의 두 왕국으로 구분한다. 양자는 교회와 국가를 하나님 통치의 두 영역, 그리스도 왕국과 세상 왕국으로 보았다. 이것이 두 왕국론이다. 바르트(Karl Barth)는 칼빈의 그리스도 통치(Christocracy) 사상을 수용하면서 교회와 국가의 루터적 이분법을 철폐하고자 하였다. 틸리케는 바르트가 보는 것과는 달리 국가는 하나님 왕국에 대해 깨어진 유비 속에 있다고 보았다. 두 왕국, 교회와 국가는 하나님 나라의 두 질서다. 교회와 국가는 둘다 하나님의 통치에 속하는 두 질서로서 두 왕국이요 두 정부로서 하나님 주권적 통치의 방편이요 도구다. 교회는 영적 통치의 수단이요 국가는 외면적 통치의 수단이다. 하나님은 이 두 가지 질서를 통하여 이 세상을 구원하시고 통치하신다. 사랑과 정의는 하나님 나라의 두 기둥이며, 교회와 국가는 두 왕국이요 두 정부로서 하나님 나라를 지탱하는 두 가지 수단이다. 현세에서 사랑과 정의는 서로 다른 질서에 속하나 다가오는 하나님 왕국에서 사랑과 정의는 하나님 나라의 보좌를 이루는 두 기초로서 사랑은 내면적 기초요 정의는 외면적 기초다.
영문 초록
The reformators, Luther and Calvin distinguished the regions of church and state as two kingdoms of God’s ruling. Both saw church and state as two regions of God’s ruling, kingdom of Christ and the one of world. This is the doctrine of two kingdoms. Karl Barth tried to abolish the Lutheran dechotomy of church and state, accommodating the Calvin’s thought of christocracy. Differently from Barth, Thielicke suggested the insight that State is in the broken analogy to the Kingdom of God. Two kingdoms, church and state are two orders of God’s Kingdom. Church and state are both two orders belonging to the God’s ruling, and two kingdoms, two government, which are the instrument of God’s sovereign ruling. Church is an instrument of His spiritual ruling, state the one of His outward ruling. God saves and rules this world through these two orders. Love and justice are two columns of God’s Kingdom and two government to maintain God’s Kingdom. Love and justice belong in this world to the different order, are two corner stones in the God’s Kingdom to come which constitute the throne of God’s Kingdom. Love is the inner fundament, justice the outward one.
목차
I. 머리말
II. 종교개혁적 두 왕국론
III. 두 왕국, 교회와 국가는 구분되어야 하나 분리되어서는 안 된다
IV. 두 왕국론의 사랑과 정의
V. 맺음말: 사랑과 정의는 하나님 나라의 두 기둥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민중운동사에서 정의 개념의 발전
- 생태 정의
- 토마스 아퀴나스의 자연법사상과 정의론
- [논평 1] 곽혜원 교수의 “여성 주도 성혁명 시대에 논하는 21세기의 시대적 과제
- 히브리 성서에서 본 하나님의 정의
- 라인홀드 니버의 정의와 사랑
- [발제문] 여성 주도 성혁명 시대에 논하는 21세기의 시대적 과제
- 기후 위기와 하느님 나라의 정의
- 두 왕국론의 사랑과 정의
- [논평 2] 곽혜원 교수의 “여성 주도 성혁명 시대에 논하는 21세기의 시대적 과제
- [권두언] 정의의 하나님과 사랑의 하나님
- 신학과교회 제17호 목차
- 환대와 포용을 통해 젠더 정의를 실천한 성서의 정경공동체
- 인의론, 우리는 죽음의 세계를 벗어날 수 있는가?
- “모든 존재가 생명을 누리는 것”이 하나님의 정의이다
- 사회주의 혁명과 정의
- 존 롤스와 앙엘리카 크렙스의 정의론에 대한 신학적-윤리적 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종교학분야 NEW
-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AIDT) 도입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 <종교교육학연구> 30년 연구 동향 분석
- 신약성경의 “이웃”(περίοικος, πλησίον, γείτων)의 용례와 생태학적 의미로 확장된 이웃사랑의 가르침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